[학술논문] 북한문학의 미적 보편성과 정치적 특수성 - 비체제적 양식과 민중적 해석을 중심으로 -
...남한문학과 북한문학이 상호 교류 없이 독자적인 길을 걸어옴으로써, 왜곡 현상이 심화되었다. 논자는 북한문학을 접근하기 위해서는 1) 동일성을 전제하기보다는 상호의 차이를 존중 2) 동시대 북한문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장성 강화 3) 민중적 관점에서 북한문학에 대한 접근 4) 북한문학을 통한 남한문학의 상대화를 제안한다. 논자는 이를 ‘비체제적 민중주의 접근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북한평론계가 주목하고 있으며, 남한문학 연구자의 입장에서도 해석의 여지가 풍부한 세 명의 작가를 선정했다. 그 작가는 김혜인, 김철순, 서청송이다. 이들 세 명의 작가들이 발표한 동시대 북한 소설을 통해 북한문학의 보편과 특수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했다. 김혜인의 <가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