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의 미적 보편성과 정치적 특수성 - 비체제적 양식과 민중적 해석을 중심으로 -
...수업>과 <무지개>를 통해 체제에 동원되지 않는 인물들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북한 노동자들의 구체적 생활상을 반영한 서사를 통해 관료주의를 비판하는 민중적 관점이 드러나는 작품으로서 의미가 있다. 북한문학은 정치우위성을 견지하고 있는 듯하면서도, 내면세계의 탐구라는 문학의 고유영역으로 인해 비체제적 성격을 간헐적으로 드러낸다. 북한문학에 대한 내밀한 읽기를 통해 관습화되고 있는 문학 양식에 대한 도전이 북한문학에서도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북한문학은 체제의 한계 내에서 허용된 자유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민중적 공통 감각이라는 측면에서는 문학적 상상력의 지평을 확대하는 시도를 멈추지 않고 있다. 북한문학에 나타나는 비체적 양상과 민중적 형상은 문학의 창조성이 지닌 보편성을...
[학술논문] 북한 ‘실화문학’의 민중성 연구 - ‘사실’과 ‘허구’ 사이의 해석적 진실을 중심으로
...민중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할 때, 북한 민중의 상태에 대한 적극적 해석이 가능해진다. 작가가 상상력을 동원해 문학적으로 형상화를 지향하면서도, 사실의 제한이 분명하기에 동시대 북한 민중의 삶에 대한 태도가 작품 속에 기입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실화문학은 지배체제와 길항하고 있는 민중 형상이 드러나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실화문학에 대한 적극적 해석, 징후적 독해를 시도할 경우 북한 민중들의 비체제적 성격을 구체화할 수 있다. 이데올로기적 성격이 강한 북한 소설도 해석의 ‘틈벌리기’는 가능하다. 이는 문학이 갖고 있는 보편성, 상상력의 자유와 형상의 구체성 때문이다. 실화문학은 북한의 지배체제와 길항하고 있는 민중의 형상을 담고 있는 주목할 만한 북한문학의 장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