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유람 중의 활동
...담은 일기를 자료로,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유람 중에 펼쳤던 여러 가지 활동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유람 중에 시 쓰기, 독서, 토론, 제명 등의 활동이 관행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시 쓰기는 특정장소에 이르러 선인들이 지은 시를 회상한 다음, 이와 비교하여 자신의 감흥을 시로 옮기는 것이 관행화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유람 중에 쓴 시는 대개 그 소재가 중복되었으며, 사대부들이 많이 찾은 명승지나 사찰이 주요한 소재였다. 사대부들은 유람 중에도 독서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사대부들은 많이 읽은 책은 『심경』, 『근사록』 등으로, 유람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인 마음공부에 도움에 되는 것들이었다. 사대부들은 유람 중에 동행한 친지,...
[학술논문] 도선사 관음보살좌상을 통해 본 18세기 서울지역으로의 불상 이운 배경: 북한산성 승영사찰 개창을 중심으로
...조각승으로 이 관음보살좌상의 조성은 현재까지 밝혀진 승호의 가장 이른 기년명 작품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관음보살좌상>에서 발견된 이운 기록이 흥미로운 점은 불상의 조성과 이운을 통해 당시 18세기 조선 후기 불교계가 처한 상황이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그 전란의 복구 과정에서 증명된 승려집단의 조직력은 조선의 왕실과 사대부층이 불교에 대한 우호적인 시선을 가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승군을 중심으로 서울과 지방 주요 거점 지역에 대한 방위 체제를 정비하게 되었으며, 그 방비 체제의 핵심이 1710-1711년 북한산성의 축성으로 귀결된다. 그리고 북한산성의 방비 및 산성의 유지를 위해 10여개의 사찰들을 새롭게 중창 되게 된다. 북한산성의 축성은 그 주변 일대 진관사와...
[학술논문] 남북한 역사 교과서에 보이는 정몽주
...”하라고 한 취지와는 달리 거리가 매우 멀게 구성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런 현실은 ‘중학교 역사의 한국사 영역을 전근대사 중심으로 구성하고, 고등학교 한국사는 근현대사는 중심으로 구성하는’계열화 방향이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방증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셋째, 남한 교과서는 정몽주를 비롯한 온건파 신진 사대부를 제거하고 조선이 건국되었다고 서술하여 조선 건국을 정당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정몽주 등을 제거 대상으로 서술한 경향이 나타났다. 이런 경향은 교육 대상인 학생들이 정몽주 살해를 당연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문제점이라고 생각되었다. 넷째, 북한 『조선력사』와 『력사』 교과서에서는 ‘봉건 관료’인 정몽주를 매우 긍정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