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군 성노예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에 대한 논박을 중심으로
...대립․논쟁하면서 일본군에 의한 성 착취의 노예적 본질을 해명하고자 시도해볼 것이다. 우선, 일본군 ‘위안부’라 불린 여성들에 대한 성적 유린은 성노예 억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 여성들은 인간이 아니라 하나의 도구, 즉 성적 욕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도구로 취급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착취는 여성의 신체와 성의 사물화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이는 강제 노역보다 더욱 가혹하고 해로우며 비인간적인 착취이다. 또한 이와 같은 성적 유린은 계약이나 여성의 동의가 아니라 군의 폭력적인 통제와 지배에 기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군 ‘위안부’ 제도의 성노예적 본질을 명백히 드러내기 위해, 성노예가 일반 노예와 어떤 차이점을 갖는지 분석해볼 것이다. 더 나아가...
[학술논문] 탈북 작가 소설에 나타난 여성 표상 연구
...젠더적 고통은 결코 적은 것이 아니다. 이지명은 <금덩이 이야기>, <불륜의 향기>, <확대재생산>를 통해 권위주의적 남성 문화와 이에 바탕한 이상적 여성상을 일관되게 작품화하고 있다. 윤양길의 <어떤 여인의 초상화>도 일방적으로 희생하는 수동적인 선군(先軍)시대의 북한 여성상을 보여준다. 이처럼 수동적으로 사물화 될 것을 강요받는 사회적 환경은, 북한 여성들에게는 엄청난 폭력이며 이후에 정신적 문제를 일으키는 하나의 병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탈북 여성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서는 선군 시대 이후 여성들에게 강요된 이상적인 여성상이라고 할 수 있는 ‘돌봄’과 ‘이악함’이 어떤 식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탈북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