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보판 ≪조선말 대사전≫(2006)의 동족어 부류에 대한 고찰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증보판 ≪조선말 대사전≫(2006)에 등재된 동족어 목록을 전수조사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특성을 사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제 동족어 목록을 전수조사한 결과로 동족어를 가지는 표제어는 총 572개였고 전체 동족어의 수는 4,395개였다. 동족어를 가지는 표제어의 문법 범주는 대부분이 명사류였고, 1개만이 접사류였다. 이 사전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를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접사류의 표제어가 동족어를 가지는 것은 동족어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고, 사전학적 관점에서 일관성에도 맞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접사류는 동족어를 가지는 표제어에서 제외해야 사전학적으로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겠다. 동족어의 개념 및 그 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남한사전 더 나아가서 통일 이후의 국어사전에...
[학술논문] 고문헌학과 민족고전학, 고문헌을 다루는 남과 북의 학문적 입장
...진행되어 왔다. 1960년 무렵부터는 고문헌의 번역·복각에 중점을 두기 시작하여, 『리조실록』과 『팔만대장경』 번역 사업 등을 수행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민족고전학은 민족고전의 수집·정리, 번역, 평가와 해제, 한자와 한문 교육, 기초 참고서의 편찬 등을 연구방향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학, 고증학, 번역학, 한문학, 사전학 등의 연구분야와 밀접하게 관련한다. 이는 남한의 고문헌학과 별반 다르지 않다. 반면 고문헌 연구의 기초가 되는 고서와 고문서의 분류 체계에 있어서는 남한과 북한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우선 고서의 분류에 있어 남한은 전통적인 ‘經部-史部- 子部-集部’의 사부분류법이나 현대의 국제적 표준에 기준한 한국십진분류법을 사용한다. 반면 북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