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체제 북한 시 분석과 전망 -『조선문학』(2012.1~2014.2)를 중심으로-
본고는 현재 북한이 김정은 체제의 기초적 성격과 특징을 형성해가는 일련의 과정에 놓여있음을 이해하고 북한의 공식 기관지인 『조선문학』에 발표된 시들을 대상으로 김정은 체제가 그려내고자 하는 국가상과 인민들에게 주조하려는 감정이 무엇인지 파악했다. 우선 ‘강성대국’ 대신 ‘강성국가’라는 시어의 전환을 통해 그들이 꿈꾸는 낙원을 보다 현실태로 그려내고 있음을 파악했다. 이후 ‘아이들’과 관련된 시들을 다수 발표하여 김정은의 젊고 친근한 지도자 이미지 주조뿐만 아니라, 이것이 인민들에게 자식의 미래를 위하여 지금의 희생을 강요하는 ‘담보’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최근 시에서 ‘사랑’이란 감정의 호소가
[학위논문] 북한의 도시경관 조성과 경관통치 연구 : 평양시 주요 거리의 건설을 중심으로
...마지막으로 국가가 평양시의 거리에 대한 언론보도를 통해 인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차원(광의의 통치성)에서는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김정일, 김정은 시기 모두 도시경관을 통한 국가 통치의 합리화와 인민의 품행을 인도하려는 의도가 드러났다. 하지만 김정일 시기에는 노동력 동원과 속도전 고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김정은 시기에는 비교적 경관에 걸맞은 사회주의 문명국가 인민의 정체성 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려명거리의 경우 북미협상 국면에서 국내외 선전의 장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이렇듯 김정은 시기의 경관통치는 김정일 시기에 비해 혁신적, 실용적인 담론과 경관 형성의 미학과 방법들이 활용되었다. 두 시기 모두 통치의 문제(후계 문제와 권력승계, 통치의 위기 등)가 경관통치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체사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