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언론과 해외의 한반도 전문가 네트워크 분석 : SNA를 통한 미·중·일 전문가를 중심으로
본 논문은 SNA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한국 언론과 미·중·일의 한반도 전문가 사이에 형성된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한국 언론이 주목하는 해외의 한반도 전문가는 누구이고, 이들 전문가들의 국가별 특징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봤다. 결과,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 중에서는 빅터 차(Victor D. Cha)와 커트 캠벨(Kurt Campbell), 조엘 위트(Joel S. Wit), 스콧 스나이더(Scott Snyder), 로버트 아인혼(Robert J. Einhorn) 등이 한국 언론과 강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에서는 스인홍(時殷弘)과 주펑(朱鋒), 진찬롱(金燦榮), 진징이(金景一), 장롄구이(張璉瑰) 등이 강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의 한반도 전문가 중에서는...
[학술논문]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관한 한국 사회의 담론 분석
본 연구는 2024년 1월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이 한반도의 안보 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담론 측면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언론보도 및 포털 빅데이터 총 15,470건을 수집하였으며 텍스트마이닝과 사회연결망 분석(SNA)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 파병에 관한 언론보도 특징은 주로 군사적 측면의 담론 및 외교 대응, 국내 정치적 반응, 국제사회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요 담론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포털 빅데이터에서는 북한 파병 병력의 규모 및 작전 수행, 피해, 드론과 같은 무기체계, 포로와 사상자 등 실질적 관련 이슈가 주요 핵심 담론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군사적 대응 전략의 강화와 외교적 대응 조치의 마련, 국민적 안보의식 제고 등의 정책적 시사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