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적 전쟁영웅의 탄생과 시대적 변화
...매개된 ‘육탄돌격형’ 전쟁영웅의 전형을 제시했다. 적을 막아내는 것이 절체절명의 가치였던 전쟁 상황에서 육탄돌격의 투혼은 무엇보다 중요한 덕목이었다. 여기서 국가는 시민에게 국가를 헌신과 복종을 명령하는 존재로 인식되었고, 이러한 명령과 복종이 가능했던 것은 국가와 가족이 동일시되었기 때문이다. 1970년대 전쟁영웅은 ‘산업전사’의 모습을 드러낸다. 북한과 군사적 긴장이 사라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지만, 절대빈곤으로부터 해방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온 국민이 산업전사로 변신해야 했다. ‘싸우면서 건설’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의 담지자로 전쟁영웅은 등장한다. 1990년대 이후 민주화와 탈냉전의 시대적 분위기는 한국전쟁과 분단에 대한 전통적...
[학술논문] 북한 ‘反간첩영화’에 나타난 냉전 이미지와 냉전형 인간
...<어느 한 해안도시에서>(1988), <방패 1, 2> (1994), <조난>(2009), <미결건은 없다>(2011) 등 총 12편이다. ‘반간첩영화’가 창출한 냉전의 전형적 인물들은 의인화된 냉전을 표상하는 ‘냉전형 인간’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① 산업스파이와 산업전사, ② 적간첩과반탐요원, ③ 반혁명의 자손들과 혁명의 계승자들, ④ 이중간첩 등으로유형화되며, 각각 ① 근대화 경쟁으로서의 냉전, ② 반미/반제 투쟁으로서의 냉전, ③ 정통성 경쟁으로서의 냉전, ④ 끝나지 않은 혁명 투쟁으로서의 신냉전을 상징한다. 노동자, 투쟁 전사, 각성하는 인간이 결합된 싸우면서 일하는 ‘냉전형 인간’의 창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