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수 시기 백석의 새 평론과 언어 지향
이 글은 활발한 번역가며 빼어난 어린이문학가, 비평가로 활동했던 재북 시기백석이 삼수 현지 파견 기간 발표했던 미발굴 평론 두 편을 새로 찾아 그 됨됨이를밝힌 글이다. 그를 빌려 백석 문학 전개에서 마지막 시기에 지녔던 문학적 관심의향방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번역 소설과 우리말」 (1959)은 백석의 유일한 번역 관련 평론이며 번역론, 나아가 시어관까지 엿볼 수있는 실제 비평이다. 삼단 짜임새를 지닌 이 글은 소설 번역 언어에서 나타나는 잘못을 크게 세 가지, 곧 자각 없는 왜색 외래어, 옮긴이가 우리말에 대한 지식이 모자라거나, 마땅치 않게 씀으로서 드러나는 것으로 나누어 예증하고 있다. 둘째, 아도브줸꼬가 쓴 평론 「예술 영화의 씨나리오와 언어」(1961)는 백석 문학에서...
[학술논문] 분단 이후의 백석 시 연구
이 논문은 1959년부터 1962년까지 4년에 걸쳐 백석이 발표한 열 편이 조금넘는 시에 관한 것이다. 백석은 분단 이후 번역에 주력하다가 1950년대 중반부터동시를 발표했고 이어서 삼수로 현지 파견된 이후 몇년 간 시를 발표했다. 이 시들은 동시와는 달리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 시기 북한 사회와 북한 인민들의 삶에 대한 백석의 입장과 태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충분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 시기 백석은 북한 체제를 적극 인정하고 수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백석의 동시에서 되풀이해서 강조된 주체성을 지키는 일의 중요성, 그리고 이를 위해 힘을 기르고 단합해야 한다는 주제 의식은 백석이 그 자신이 몸담고 있는북한 사회를 지킬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음을 말해 준다. 그것은전쟁기와...
[학술논문] 백석의 초기 소설에 나타난 백석 문학의 원형적 특성 연구
...‘엮음’이란 독특한 서술방법을 통해 판소리를 비롯한 다양한 문학적 표현의 전통을 소설 속에 구현해 내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의인화된 인물들을 설정하여 작품의 흥미를 배가한다. 이와 같은 백석 소설의 특성들은 이후의 문학 활동, 즉 초기 시와 후기 시, 북한에서의 아동문학과 시작(詩作) 활동 등과 연결되면서 다시 활성화된다. 이에 본고는 백석의 문학 활동 시기를 다섯 시기로 나누고 그 가운데 삼수로 현지 파견을 나가기 이전까지의 문학적 특성들이 초기 소설작품들 속에 이미 내재되어 있음을 밝혀보이고자 한다. 그 결과 백석의 문학 활동은 삼수 파견 이전, 아동문학에 집중하던 시기까지를 통일적인 양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그 이후 외적 환경으로 말미암아 명확한 단층이 생긴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