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산 둘레길 경관선호도와 이용만족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자연속에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의식 변화로 길은 기능 중심의 ‘걷는 길’에서 목적 중심의 ‘걷고 싶은 길’로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성되고 있는 ‘걷고 싶은 길’은 길을 따라 걷는 과정에서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긴 선적 공간이라 할 수 있지만, 노선 선정 시 길을 걷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길의 경관에 대한 고려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길을 걸으면서 느끼고 지각하는 경관은 ‘걷고 싶은 길’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하나의 목적을 제공할 뿐 아니라, 길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지만, 걷고 싶은 길의 경관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학술논문] 북한 국민소득과 통일경제
...수준이 유사하다고 평가되는 저개발국가의 개체특성을 고려하여 북한GDP 추정에 정확도를 높였다. 셋째, 한국은행과 여타 연구에서 사용되는 가격체계가 가진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세계 198개국의 2000~2008년까지 영아사망률과 1인당 GDP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고정효과(fixed effect) 모형을 활용하여 영아사망률과 GDP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아사망률외에도 북한의 고유한 국가 특성을 고려하였다. 이를 추정하기 위해 북한이 저개발 국가들과 유사한 특성 가진다고 가정하고 1인당 국민소득 3,000달러 이하인 100개국 각각의 국가별 특성을 구하여 이 값에 평균을 취한 후 이를북한의 개체특성이라고 가정하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모델에 근거하여 추정한 결과 2013년북한의 1인당 명목...
[학술논문] 도보관광의 체험요소(4Es),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연구는 이러한 도보관광지 체험과 도보관광객 만족도, 재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차후 지자체의 도보관광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실증분석을 위해 북한산 둘레길을 방문하는도보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250부에 대해 SPSS 18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AMOS 7.0을 활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의 확인적 요인분석과 모형검증(Model 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ine과Gilmore(1998)의 개념적 연구의 4가지(오락, 교육, 심미, 일탈) 요소 중 심미적 체험요소와 일탈적 체험요소가도보관광객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학술논문] 여가활동과 기상·기후간의 관계분석: 등산활동을 중심으로
...기상ㆍ기후정보(평균기온, 강수량, 일조량, 운량, 습도, 미세먼지)를 관측한 데이터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립공원의 일별 등산객 수의 자료는 북한산국립공원과 한라산국립공원에서 관리하고 기록한 일일결산서대장을 이용하였다. 분석된 자료의 기간은 2013년 1월 1일-2013년 12월 31일 까지 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북한산국립공원의 등산객은 가을에 31%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봄과 여름이 25%로 분포되었다. 10월에 가장 많은 등산객이 탐방하였고 2월에 가장 적은 등산객이 탐방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은 등산객 분포가 가을 28%, 여름 27%, 겨울 24%, 봄 21% 순으로 나타났고, 10월에 가장 많은 등산객이 탐방하였으며...
[학술논문] 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가 북한이탈주민 접촉 및 사회인식과 정책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대상은 남학생 185명, 여학생 190명으로 총 375명의 학생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이용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은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를 매개로 하여 기회평등․사회보장정책 인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등주의 인식, 통일인식, 다문화주의 인식은 기회평등․사회보장정책 인식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 또한 미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