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중의 세분화로 분석한 국가 보훈행사에 대한 젊은 세대의 참여도 차이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이는결국 국가 보훈 행사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 저하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젊은 세대들의 국가 보훈행사와 국가유공자들에 대한 무관심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젊은 세대들이 국가보훈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PR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으로는, 그루닉(Grunig, 1997)의 공중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 ofpublics)과 콜브(Kolb, 1984)의 경험학습이론(experiential learning theory)의 이론적 틀을 이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251명의 대학생모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4(네 부류의 공중: 활동공중, 인지공중,자극/각성공중, 비활동공중) X 2(보훈 관련...
[학위논문] 統一敎育論 體系化와 道德科敎育 適用 硏究
.
#통일 교육 체계화 #통일 교육 적합성 이론 #통일 교육 상황 이론 #통일 교육 교수 이론 #민족 공동체 교육 #평화 교육 #정치 교육 #통일 교육과 교사 교육 #통일 교육의 기반 조성 방안 #통일 교육의 제도적 정착 #the systemiz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theory of educational suitability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theory of instruction #the theory of educational situation #ethnic community education #peace education #political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upheaval devices...
[학술논문] 위기 상황에서의 김정일과 김정은의 리더십 비교 연구
...통해 자신의 권력유지를 추구한 반면, 김정은은 적극적-긍정적 리더십을 통해 인민들과 소통하면서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위기를 극복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두 정치지도자의 퍼스낼러티 차이는 역시 위기 상황을극복하는 각 단계별로도 분명히 나타나 김정일은 분명한 위기 상황에 대한 별다른 진단 없이 붉은기 사상과 선군정치라는 해결책 제시를 통해 군 중심의 통치로 자신의 권력유지에집중한 반면, 김정은은 위기 상황을 빨리 인식하고 여러 경로를 통해 해결책을 제시하면서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주요 현안에 따라 피상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김정일과 김정은의 리더십을 위기 상황이라는 그 리더십이 가장 잘 발휘되는 상황에서 이론적 틀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를 분명히 드러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