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적거리가 문화예술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 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충격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2007년 부터 급증하는 제3국 출신의 새터민 청소년의 문제가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범주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는 것에 착안 하였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다(多)문화 관점으로서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는 무엇이며 두 집단의 비교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방법으로 정성적 진단연구 반 구조화 질문체계 토대로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두 집단별 문화충격에 대한 차이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로서 첫째로, 현 정부 역시 두 집단의 차이를 인식하고는 있지만, 두 집단의 세부적 특성과 차이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집단 모두 ‘새터민 청소년’이라 불리지만, 실제적으로 성장한 국가와 입국한 국가의 문화가 상이하기...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연구 : 소수자의 관점에서
남북의 분단 상황에서 남과 북은 다양한 동기에서 자신이 속한 체제와 사회를 떠나 상대방의 체제와 사회에서 새로운 삶을 선택한 사람들의 역사를 갖고 있다. 남한사회에서 이들은 초기에는 ‘귀순자’라는 이름으로, 북한의 식량난 이후에는 ‘탈북자’, ‘북한이탈주민’ 등으로, 최근에는 ‘새터민’이라는 호칭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오늘날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사회에서 새로운 소수집단으로서 존재한다. 북한이탈주민은 수적으로 소수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힘의 열세에 놓여 다수자로부터 차별적인 대우를 경험하는 집단이라는 의미에서 소수자이다. 남한사회의 소수자로서 존재하는 북한이탈주민에게 최근 유럽사회의...
[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효과적 상담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목적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을 위한 상담에서 효과적인 상담자 요인과 개입 방식을 탐색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00년 1월부터 2024년 3월까지 발간된 탈북청소년 상담 관련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수집하였다. 논문 수집은 학술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학술연구 정보서비스(RISS), 한국 학술정보원(KISS), 학술 데이터베이스 서비스(DBpia)를 검색하였다. 연구 문헌 선정을 위한 검색어는 탈북청소년, 북한이탈 청소년, 새터민 청소년, 탈북학생이라는 네 단어에 각각 ‘상담’과 ‘심리’를 조합한 단어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수집한 논문에 선정 기준과 배제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25편의 문헌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효과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