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익환의 기독교 신앙과 사회참여-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을 중심으로
...이르는 과정신학이자 실천신학으로 보면서 통일신학이 화해신학으로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화해라는 민주적인 과정을 거쳐 다다른 통일은 우리의 평화일 뿐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평화, 나아가서 세계평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보았다. 문익환이 감옥 안에서 발견하고 예수그리스도를 통해 깨달은 화해와 평화의 정신은 곧 ‘생명사랑의 마음’이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문익환의 생명사랑은 자연, 인간의 생명에 대한 사랑으로서 무엇보다 민중에 대한 뜨거운 사랑이었다. 문익환이 스승 김재준의 영향으로 견지하게 된 그의 예언자적 참여신학은 1980년대 초중반부터 ‘민중성’을 띄게 되며, 1990년대의 그가 쓴『히브리민중사』를 통해 민중적 예언자적 역사참여 정신으로 발전해 나가게 된다.
[학술논문] 문익환의 평화·통일 사상 담론과 성찰
본 논문은 문익환의 평화 사상과 통일 사상의 변화와 특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문익환의 평화 사상과 통일 사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점은다음과 같다.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생명 평화, 민주 평화, 통일 평화로 구분해 볼수 있다. 먼저 문익환의 생명 평화로서 문익환의 ‘생명 사랑’ 의식은 인간을 넘어 자연에까지 확대, 발전하였다. 그는 인간과 인간, 그리고 자연과인간의 공존이 곧 평화라고 인식했다. 또한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민주 평화로서, 단순히 전쟁을 반대하여남북 간의 평화적 통일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국민들의생존권과 인권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인권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덧붙여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통일 평화로서, 통일...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시에 나타난 ‘어머니’의 이미지-『조선문학』(2012-2019)를 중심으로
...‘어머니’에는 개인의 사적 영역뿐 아니라 정치 사회적 영역에서도 가부장적 제도와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북한의 ‘젠더’, ‘여성’ 인식이 담겨있다. ‘어머니’는 나를 낳은 사람으로서 존재와 생명의 근원이자 무조건적인 사랑의 상징이다. 그러나 북한시에서는 육친인 어머니가 주는 생명과 사랑의 의미보다는 당과 조국과 같은 수사적 ‘어머니’가 가지는 ‘혁명’, ‘체제’, ‘김일성 일가 옹위’와 같은 정치적 의미가 더 강조된다. 북한에서 활용되는 ‘어머니’ 이미지는 경제 상황과 정치지향에 따라 변하지만 김일성 일가의 어머니 특히 김정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