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일 시기 이후 북한의 ‘인구재생산’과 영화 속 모성담론
본 연구는 인구재생산에 대한 북한의 시각을 밝히고, 그에 따라 진행되는 인구정책과 모성담론의 관계와 함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북한에서 인구재생산에 대한 시각은 생물학적 측면보다는 ‘사상, 제도, 지도자’의 우수성을 부각시키는 데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김정일 시기 북한은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을 진행하면서 그에 부응하는 여성에게 ‘선군시대 모성영웅’이라는 명예칭호를 수여하였다. 하지만 ‘선군시대 모성영웅’의 영화적 형상은 다자녀 출산이 아니라 자녀의 사상적 교양자로서의 모성 역할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자녀를 국가에 충성하는 군인 및 군인의 아내로 양육하거나 입양하는 ‘모성’을 칭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품은 체제 변화가...
[학술논문] 북한 영화에 대한 젠더 접근법 모색
... 북한 영화가 구현해야 하는 ‘주체형의 인간’은 국가조직인 당의 정책을 충실히 수행하는 이를 일컫는다. 젠더 문제는 ‘국가’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는 북한 영화의 정치적 특성에도 부합한다. 북한 영화의 내용과 형식을 규제하는 것은 해당 시기의 통치 담론들을 젠더의 국가적 범주에 대입시켜볼 때 정치적 특성이 강한 북한 영화의 젠더 관계를 더 명료하게 살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젠더 기획을 분석하기 위한 다섯 가지범주(생물학적 국민재생산, 문화재생산, 시민권, 군대, 노동)를 김정일 시기 북한의 통치 담론과 연관시켜 소개하였다. 이들 범주는 각각 북한 영화의 젠더 연구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장르의 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위논문]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의 젠더 담론 연구
...제작ㆍ발표된 북한의 예술영화와 TV드라마이다. 이 시기 북한영화가 구현하는 통치담론은 ‘조선민족제일주의, 선군정치, 강성대국건설’ 등이다. 이 담론들은 각각 민족 및 국가적 차원에서 기획되는 젠더의 다섯 가지 범주인 ‘생물학적 국민재생산, 문화재생산, 시민권, 군대와 전쟁, 노동’에 대입할 수 있다. 북한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형상을 이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생물학적 국민재생산 범주에서는 ‘선군시대 모성영웅’을 제시한다.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이 진행되는 현실과 달리 영화에서는 자녀의 사상적 교양자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자녀를 국가에 충성하는 군인 및 군인의 아내로 양육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