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遼東∙西北韓의 初期鐵器文化와 衛滿朝鮮
기원전 2세기 대 衛滿朝鮮을 설명하는 고고학자료 중 중요한 것 중 하나가 鐵器 갖춤새이다. 이와 관련한 遼東과 西北韓의 기원전 3-1세기의 초기철기문화에 대해서 시간적으로 5단계, 공간적으로 6개의 하위지역으로 세분하여 설명하였다. 기원전 3세기 전반에 遼東과 西北韓 北部에 걸쳐 각종 農器具와 工具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3세기 후반에 遼東과 西北韓 北部의 據點에 대량의 農器具, 工具와 함께 劍, 鉾, 戈 등의 武器가 보급된 사례가 확인된다. 西北韓 南部에도 農器具와 工具가 보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기원전 2세기 전반에 西北韓 南部에도 農器具와 工具의 일부 器種이 보급되는 사실이 무덤의 副葬遺物을 통해서 확인된다.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劍, 矛 등의 武器도 소량 보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술논문] 북한지역의 발해유적 발굴조사 현황과 과제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발해유적 중 발굴조사 된 유적을 관방유적, 건축유적, 고분유적, 사찰유적, 생활유적 등으로 분류하여 조사현황을 살펴보았다. 우선 관방유적은 청해토성, 성령산성, 성상리토성 등이 발굴되었고, 건축유적으로는 금산1, 2건축지, 회문리ㆍ동흥리 24개돌 유적 등이 있다. 고분유적은 발굴된 유적의 수가 제일 많은데 함경북도 지역의 금성리고분군, 창덕고분군, 궁심고분군, 부거리일대 고분군, 창촌리고분 등과 함경남도의 평리고분군, 오매리고분군, 부상리고분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중 창촌리고분과 부상리고분군은 비교적최근에 발굴되었다. 사찰유적은 오매리사지가, 생활유적으로는 오매리 자기가마터가 대표적이다. 발굴현황을 살펴봤을 때, 북한지역 발해유적은 알려진 곳에 비해 실제 발굴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