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漢陽 西郊지역의 邦墓 조성과 피장자 신분
...불교의 여러 의식 가운데서도 그 설행목적이 영혼천도에 집중되어 있고 규모 또한 가장 크기 때문에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륙재가 시행되었던 서교지역에 매장된다는 것은 사후 영혼천도에 대한 염원과 함께 서방극락정토사상이 덧붙여짐으로써 일반 백성들에게 선호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결국,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조성되었던 방묘가 진관동 일대에 서교라는 이름으로 불리면서 조성되었다는 사실은 이 지역이 조선전기 한양의 공동묘역으로서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에 서교지역에서 확인된 피장자들의 신분을 살펴봄으로써 서교지역에 조성되었던 방묘가 한양민들의 공동묘역으로써 사용되었던 것인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분이 확인되는 피장자들은 모두 궁궐을 중심으로 직역한 사람들로서 통정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