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미디어를 통해 본 여행지로서 ‘평양’과 ‘평양인’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한국과 일본에서 간행된 여행안내서와 잡지를 통해 당시 한국 여행자들의 평양인식과 오늘날 평양관광의 현재를 살펴보고 있다. 근대 이후 북한의 관광은 일제강점기와 남북분단으로 폐쇄적인 국가로 존재하면서 특수성을 띠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로서의 북한을 탐구하는 데에 있어 평양이라는 도시에 주목하고 있다. 평양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에게 ‘가장 조선적인 도시’로 여겨져 주목을 받던 곳이었고, 해방 이후에도 북한관광 상품의 중심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일제는 1910년 병합 이후부터 꾸준히 한국 관광지를 소개하는 여행안내서를 간행했다. 여기에는 정형화된 볼거리로서의 관광지 소개와 근대 일본의 전적지로서 의미 부여하는 측면이 강했다. 그리고 식민지 시기 말기에는 한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