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근대시와 시적 표상공간으로서의 ‘서도’ 로컬리티 - 1920년대 시형식의 변화와 시적발화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근대시와 로컬리티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했다. 특히 1920년대 시의 근대성이 서구의 영향 이전에 ‘서도(西道)’라는 로컬리티와 상관하고 있다는 점을 피력하고자 했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그 범위를 제한하여 서도출신 시인들의 시적 의도와 시 의식에 관한 깊이 있는 천착은 뒤로 미루고 시적 표상공간으로서의 ‘서도 로컬리티’의 재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정했다. 근대초기 서도시인들의 로컬리티가 우선적으로 규명된다면 이번 연구를 통해 근대시인의 시의식과 관련한 내재적 요인들도 차후 새롭게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요컨대 본고는 아직은 낯선 개념인 ‘서도’의 의미를 구체화하여 밝히고, 서도출신 시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근대시의 특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