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근대시와 시적 표상공간으로서의 ‘서도’ 로컬리티 - 1920년대 시형식의 변화와 시적발화를 중심으로
... 특징이 상당부분 서도 로컬리티와 관련이 있음을 논구하고자 했다. 논거가 된 시인으로는 근대초기 새로운 시적 감각을 표출한 김소월, 주요한, 김동환이다. 이들은 1920년대 한국근대시의 서정과 시형식의 변화를 주도한 시인으로 평가된다. 이들이 보여준 근대초기 시적 특장들은 ‘서도 로컬리티’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서도 로컬리티’는 서도지역을 관장하고 있는 언어, 문화, 풍습과 민속, 그리고 특유의 서정적 정서이다. 서도 로컬리티를 검토할 수 있는 제(諸) 요소들이 그 대상이 되었다. 요컨대 본 연구는 ‘서도’라는 특유의 장소성이 근대시의 표상공간으로서의 결정적인 외부적, 내부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던 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