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고통을 겪었다.
소련 점령군의 지령을 받은 남로당의 선전·선동, 격렬한 폭동과 대규모 게릴라침투에도, 신생국가 대한민국은 1950년에 쌀을 수출할 정도의 농업력 회복과 재정안정, 토지개혁에 따른 민심 안정 등으로 사뭇 새로운 활력이 넘치고 있었는데, 김일성과 공산 세력의 전면 남침 전쟁으로 폐허로 변하고 말았다.
미국과 서방국가들은 중국대륙에서도 공산당이 승리했는데, 혼란과 자원이라고는 북한의 2배에 가까운 인구만 존재하는 대한민국은 쉽게 공산화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었다. 이러한 예상을 벗어나 결사 항전으로 나라를 지켜내고 70여 년 만에 세계적 공업, 문화강국으로 성장한 것은 거대한 감동의 드라마였다.
대한민국도 탄생과 발전 과정에서 여러 행운을...
[통일/남북관계]
.../>
: 서방정책·동방정책·통일외교라는 3단계
1945년 2차대전 종전 직후부터 89년 베를린장벽 붕괴까지 독일 통일로 가는 길은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1장은 그중 첫 단계인 서방정책 즉, 1949~63년까지 초대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가 추진한 정책을 다룬다. 아데나워는 독일이 2차대전의 과오를 씻고 유럽의 일원으로 다시 속하기 위해서는 서방국가들과 관계를 우선 회복해야 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인접국 프랑스와 화해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여긴 아데나워는 프랑스에 자를란트의 공동관리권을 넘기고 자국의 석탄·철강 생산 등에 대한 권한을 프랑스·이딸리아 등과 나누는 과감한행보를 보였다.
이 같은 서방정책이 성공함으로써...
[학술논문] 통일을 위한 역사교육 VS. 역사를 통한 통일교육
...동시에 이룩한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이 같은 성공의 기원은 어디서부터 유래했는가?이승만은 자유를 위해 통일을 유보했다. 이승만의 선택은 서독의 첫 번째 수상 아데나워의 서방과의 통합(Westbindung) 정책에 비견될 수 있다. 아데나워는 일단 통일은 유보하고 서독부터 인권의 현실적 기반인 ‘진정한 자유’를 확립할 것을 주장했다. 서독에서 통일정책은 1969년 빌리 브란트에 의해 신동방정책(Neues Ostpolitik)으로 부활했다. 1990년 헬무트 콜 수상에 의해 이룩된 독일통일은 아데나워의 서방과의 통합, 빌란트의 신동방정책의 연속선상에서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통일정책의 기본 노선은 ‘선 자유, 후 통일’에서 ‘선 평화, 후 통일’로...
[학술논문] 6․25전쟁 발발 후 유엔에서 논의된 동북아 현안(1950∼1951)
...이는 중국의 유엔대표권문제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련대표는 미국 대표단과 국민당대표가 연합하여 신중국 대표의 출석을 방해한다고 항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중화민국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하지 않았다. 오히려 서방국가 중에서도 영국 등은 유엔의 공정한 입장을 드러내기 위해 위해서라도 신중국 대표가 직접 출석하여 자신들의 입장을 피력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9세기의 제국주의 행태와는 분명 다르지만, 당시 상황은 각국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지역 통합을 위한 갈등이었으며, 일국에 의한 것이 아닌 공통의 이해와 이념을 가진 집단에 의한 상호 견제였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또 다른 형태의 제국주의라고 할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모든 나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