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원일의 『노을』에 나타난 ‘죽은’ 아버지의 귀환과 이중 서사 전략
노을은 김원일이 불가해한 남성 주체가 등장하는 초기단편에서 벗어나 문학적 전환의 계기를 마련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본고는 이 작품이 표층적으로는 당대 사회의 반공 이념에 부합하는 서사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이데올로기 비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읽어내려고 한다. 작가는 70년대 사회에서 월북한 아버지를 불러내기 위해 소년 갑수와 중년 갑수의 시점을 이용한다. 그래서 겉으로는 아버지와의 개인적 화해를 지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심층적으로는 아버지를 역사적 맥락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이 작품은 반공 이념에 충실한 소시민 중년 갑수와 신뢰할 수 없는 화자인 소년 갑수를 의도적으로 교차 서술하여 아버지를 순진한 사회주의자로 이미지화하고 연민의 대상으로 재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은 함구했던 아버지를
[학술논문] 최명익 소설의 서술 기법 연구 - <장삼이사>와 <맥령>을 중심으로 -
...위해 2장에서 <장삼이사>를 먼저 살펴 본 뒤, 3장에서 <맥령>을 다루었다. 「맥령」에서 토지개혁이라는 정치·사회의 본질을 반영하고, 사회변혁 주체로서의 민중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이로부터 최명익이 당 중심의 북한문학으로 한 걸음 다가섰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작품의 안팎을 장악하는 서술자의 권위적 담론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말과 행동, 생각까지 규정하고 주제를 강조하며 북한 역사 서술의 관점을 그대로 전달한다. 해방 전 최명익이 보여 준 부정과 비판의 정신이 사라진 곳에 정치적 담론에 의거한 북한의 문예창작 강령에 충실한 서사가 자리하게 된 것이다. 근대비판의 주체에서 이데올로기적 주체로 나아간 최명익의 고뇌와 변모를 서술자의 변화 속에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학위논문] 북한소설의 구조 분석 : 김병훈의 소설을 중심으로
...공산주의적 인민형상이 추구하는 혁명역사를 주체시대 이후에는 유일지도체계의 수령형상이 담보하는 혁명역사를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는 것은 두루 알려진 바다. 이 논문은 이를 재론하려는 것이 아니다. 공산주의적 인민형상에 내포된 혁명적 아름다움 혁명적 랑만성 그리고 수령형상에 내포된 혁명적 수령관을 구현하는 혁명서사의 담화구조를 분석하려는 것이다.서사는 결국 서술자가 독자에게 하는 담화이다. 이때 서사의 담화구조는 담화의 내용을 구현하는 형식이다. 혁명적 아름다움 혁명적 랑만주의 혁명적 수령관은 혁명서사가 독자에게 전하는 담화의 내용 즉 독자에게 주려는 전언이라고 볼 수 있다. 혁명서사의 담화구조는 이런 전언들을 구현하는 물적 구조 즉 전언체계이다. 이런 혁명적 전언들은 혁명역사의 목적론 그리고 누구도 이를 벗어날...
#북한소설의 구조 분석 #김병훈의 소설 #혁명적 아름다움 #혁명적 랑만주의 #혁명적 수령관 #미적 표상구조 #낭만주의적 상징구조 #혁명역사의 목적론적 전언 #혁명서사의 무의식적 전언체계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North Korean novels #Kim Byung-hoon's Novels #Revolutionary Beauty #Revolutionary Romanticism #Revolutionary Suryong #Aesthetic Structure of Representation #Romantic Structure of Symbolism #Message on the Teleological Revolutionary History #Unconscious Message System of Revolutionary
[학술논문] 『갑오농민전쟁』의 구성분석 - 모더니즘적 기법을 중심으로
...작가로서의 경로와 함께 우리 문학사의 변모를 밝혀줄 소중한 단초를 제공한다. 본고는 인물과 주제 면에서 판이한 월북 이전과 이후의 연계성을 찾을 수 있는 방편으로써의 서술 기법이라 판단하여 『갑오농민전쟁』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갑오농민전쟁』의 주제는 반외세, 반계급, 반봉건의 민족해방의 논리 등 북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벗어나지 않으나 장의 분절, 공간의 이동, 서술자와 초점화자의 구분 등 다양한 언술주체들의 활용, 등을 활용한 기법이 소설의 언어를 이중적으로 만들어 소설 내적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체 완결적이지 않은, 열려있는 언어는 박태원의 언어의식이 북한 문예이론에 함몰되지 않았으며 모더니스트 박태원의 기법실험이 여전히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학술논문] 월남민의 균형감각과 냉전의 분할선 : 개작과 검열의 관점으로 『카인의 후예』 다시 읽기
...5개의 개작 판본을 가지고 있다. 이 글에서 판본들의 개작상황을 검토해 본 결과, 작가는 개작을 거쳐 남한의 전시 반공체제의 검열을 의식하면서도 민족 분열, 한국전쟁을 낳은 원점의 하나라는 점을 고발했고, 형식과 표현의 완성도를 높이는 ‘자기검열의심미화’를 통해 순수문학의 작가 신화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보았다. 이 글에서는 주인공 서술자가 남과 북 어디에서 속하고,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경계인인 월남민의 위치와 균형감각을 소유한 점, 북한 토지개혁의 대의는 긍정하나 근대국가 수립 전에 시행됨으로써 민족 분열과 전쟁을 초래한 ‘카인적 원죄’를 비판한 작품이라는 점, 개작과 자기검열은 완성도 제고 외에 반공주의와 냉전의 분할선을 가로질러 이데올로기의 폭력과 인간 욕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