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아시아 서원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Academies in East Asia”에 대한 서평-
...‘율곡 서원의 실천 분석’(3부 11장), 첸이칭(簡亦精) 의 ‘대만 서원 제례 연구’(4부 14장)는 서원의 학규, 운영 등이 지역 현실에 창조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덩홍보(鄧洪波)의 ‘명대서원 강회(講會)’(2부 6장), 스티븐 마일스(Steven B. Miles)의 ‘청대 서원에 대한 도시사적 접근’(3부 10장), 란쥔(蘭軍)의 ‘오봉서원(五峰書院) 송사(訟事) 연구’(3부 12장)는 서원이 교육 공간을 넘어 사회 네트워크의 중심지, 도시 경제의 핵심 요소, 권력 갈등의 무대로 기능했음을 실증한다. 그리고 린다 월턴(Linda Walton)의 ‘숭양서원 연구’(4부...
[학술논문] 五臺山史庫本 實錄의 還收에 관하여
...실록 반환요청서를 제출한 뒤 직접 동경대학과 접촉을 시도하였다. 이후 여러 과정과 난관을 거쳐 마침내 오대산본 『朝鮮實錄』은 귀환되었다. 『朝鮮實錄』 잔본 47책의 귀환 작업이 모두 끝나자 文化財廳은 문화재위원회 국보지정분과위원회를 열어 국보 제151호에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오대산본 『朝鮮實錄』의 환수에는 慧門스님의 진심어린 발원과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서원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고, 月精寺의 지원이 환수에 결정타가 되었다. 이외 국내 유력자, 북한의 朝鮮佛敎徒聯盟과 在日本居留民團의 협조가 있어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오대산본 『朝鮮實錄』 환수의 마무리 단계에서 몇 가지 문제가 노정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 문제의 단초는 서울대학교가 『朝鮮實錄』을 “返還”이 아닌 “寄贈”받은...
[학위논문] 북한의 사법·치안체제와 한국전쟁
...가지 커다란 변화가 나타났다. 첫째 ‘전시상태’가 선포되었는데 이때 가장 큰 특징은 전시범죄의 사회적 위험성이 평시와 질적으로 다르게 변경된다는 것이다. 특히 지방군정부에게는 전시형법에 따라 ‘반인민적이고 반동적이며 공화국에 적대되는 행위자’를 처벌할 수 있는 사법권을 주고,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보안대, 내무서원, 정치보위부원들과 일반재판소 혹은 도재판소, 군사재판소 등 사법치안조직들에게는 ‘반동분자’들을 체포, 심사와 분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 둘째는 훈련된 수많은 사법·치안조직원들이 남한에 파견되었다. 세 번째는 ‘반동분자’에 대한 대책과 처리는 점령 초 자수 등 포섭과 색출정책을 병행하였으나...
[학위논문] 북한의 사법·치안체제와 한국전쟁
...가지 커다란 변화가 나타났다. 첫째 ‘전시상태’가 선포되었는데 이때 가장 큰 특징은 전시범죄의 사회적 위험성이 평시와 질적으로 다르게 변경된다는 것이다. 특히 지방군정부에게는 전시형법에 따라 ‘반인민적이고 반동적이며 공화국에 적대되는 행위자’를 처벌할 수 있는 사법권을 주고,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보안대, 내무서원, 정치보위부원들과 일반재판소 혹은 도재판소, 군사재판소 등 사법치안조직들에게는 ‘반동분자’들을 체포, 심사와 분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 둘째는 훈련된 수많은 사법·치안조직원들이 남한에 파견되었다. 세 번째는 ‘반동분자’에 대한 대책과 처리는 점령 초 자수 등 포섭과 색출정책을 병행하였으나...
[학위논문] 탈북민 목회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 수용성 연구 : Mandelbaum 분석방법론 적용
...중국에서는 거의 모든 탈북자들은 노동의 대가를 요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고난의 상황이 복음을 수용하기 쉽지만 평생 학습된 주체사상으로 기독교복음 수용이 어려웠다. 결국 신변불안과 체포송환에 대한 ‘위기’는 카멜레온의 생존방식을 추구했다. 이들은 극한의 고통 속에서 극적으로 회심을 하고 남한에 입국한다. 입국 후 남한의 경제상황에 매료되어 서원기도를 잠시 잊는 퇴행도 있었지만 바로 자신의 소명을 깨닫고 신학을 한다. 자신의 영혼을 건 절대적인 ‘헌신’으로 교회를 개척하고 탈북민들의 믿음과 성경 지향적 통일목회로 ‘헌신’하며 적응하고 있다.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람보의 회심 이론에 근거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회심과 복음 수용성에 관해 기술했다. 첫째 극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