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ʻ유훈ʼ과 변화 사이의 의사 결정: 북한 김정은 체제 후계 권력구도의 행보와 특징
본 연구는 ʻ선택권 이론ʼ과 게임 이론의 조정 게임(Coordination) 게임을 통해 북한 김정은정권의 후계 구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새로운 김정은 정권은 ʻ유일영도체계ʼ 확립을 위한 체제 보장과 후계구도 확립을 위해 적절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고, 숙청을 통한 조정 게임 역시 지속적으로 관찰되어 승계 권력에 대한 문제점은 특별히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김정은1위원장이 연설을 통해 직접 언급한 ʻ주민생활개선ʼ 문제의 공약은 집권 초기 체제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변수로 관찰되었다.
[학위논문] 북한 권력구조 변화에 대한 비교체제론적 연구 : 북한과 중국의 헌법 및 공산당 비교
...국방위원회를 국가최고지도기관이라는 핵심권력의 기관으로 승격시키면서 최고 권력을 대를 이어 승계해 가고 있다. 북한은 이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북한헌법 전문에 김일성을 영원한 주석, 김정일을 영원한 총비서로 명시하였으며, 권력의 승계와 관련하여 필요시마다 노동당 규약과 헌법을 개정하여 왔다.
현대의 민주국가에서는 국민에게 정부 선택권이 있으며, 헌법에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있다. 과거부터 동맹관계를 유지해 온 당국가체제인 중국은 1982년 이후 인민의 기본권 보장에 중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헌법 개정을 함으로써 중국인민들의 삶에 대한 질이 향상되고 있으며, 더불어서 인민의 의식과 사고방식도 민주적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인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법적 조치가 없을 뿐만...
[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정책변천에 관한 연구
...종교정책은 북한의 통치이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의 종교정책은 주체사상을 통하여 통치자의 신격화, 즉 유일령도체제를 유지하는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북한체제의 이러한 목표를 위해서 빌리 그래함 목사와 문익환 목사와 같은 북미의 대표적인 복음전도자와 남한의 기독교 대표자들을 초청하여 북한의 종교정책은 북한주민의 자유로운 선택권이 주어져 있다는 인식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선전 효과를 극대화했다. 그리고 남북종교교류활성화를 통하여 북한의 종교정책이 변하고 있음을 보여주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종교정책이 변화한 부분을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심층면담을 통해서 보여준 북한의 정책 변화된 부분은 그다지 크지 않다. 그럼에도 사회적 구현의 형식과 운영에서 어느 정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