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원도를 이용한 북한지역 토지이용현황 분석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북한지역 지적원도 정보화 사업의 추진상황을 소개하고, 북한지역 지적원도 정보화 성과를 이용하여 과거 북한의 토지이용현황 및 지적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북한 지적원도의 활용 가치 및 한계성을 검토하고, 향후 북한지역 토지정보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북한 지적원도 정보화 사업의 소개와 시범 구축된 성과를 이용하여 100년 전 당시 북한지역의 토지이용현황과 현재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중첩하여 토지경계 변화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북한지역의 다양한 토지정보 확보와 북한 관련 업무 및 연구에 많은 활용이 예상되며, 북한지역의 토지정책 수립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학술논문] 북한의 특별소삼각측량지역 신규 발견과직각좌표원점 연결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북한 세부측량원도 정보화사업을 통해 신규로 발견된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을 소개 및 고찰하고, 토지조사사업 당시 직각좌표원점지역의 삼각점 성과를 이용하여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을 직각좌표원점과 연결함으로써 세부측량원도의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계 등 각종 문헌을 통해 현재까지 알려진 한반도의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은 19개 지역이었으나, 북한의 세부측량원도 정보화사업 과정에서 19개 지역 이외에 북한의 개성군 송도면이 토지조사사업 당시 특별소삼각원점에 의하여 세부측량을 실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개성군 송도면의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을 토지조사사업 당시 삼각점 성과를 기준으로 직각좌표원점 계열로 변환하였으며, 그 결과 수평위치오차는 약 4.532~10.689m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