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련군의 대일전 참전과 러시아에서 본 광복의 의의 및 평가
이 글은 소련군의 대일전 참전과 한반도 진주 문제를 살펴보고, 소련군의 역할에 대한 소련·러시아의 평가를 규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일본의 항복 후 소련이 한반도 전체를 장악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포기한 것은 아직 미·소간 협력을 중시하였고, 여기에는 한반도의 장래는 특정 국가가 아닌 연합국의 공동 합의에 내맡기려는 소련의 원칙적 입장이 작용하였다. 다만 애초 예정과는 달리 한반도에 지상군을 전격 투입하게 된 것은 바로 일본의 분할 점령에 대한 미국의 거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8.15 해방은 일본의 항복 결과이며, 미국에 의한 원폭 투하와 장기전으로 인한 일본 국력의 약화, 소련군의 참전이라는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였다. 한국의 해방이 연합국의 승리에 의해 이루어졌음에도...
[학위논문] 조선인민군 해군의 창군과 한국전쟁 참전 연구
...창출 과정에서 소련 해군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던 만큼 소련 해군의 영향도 함께 분석했다.
제2장에서는 소련의 북한 지역 점령과 대북 군사정책을 서술했다. 소련군의 북한 지역 점령은 소련 해군 태평양함대의 상륙작전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소련과 북한의 첫 접촉은 의미가 있기에 관련 내용부터 서술했다. 북한 해군의 조직과 발전에 소련 해군은 절대적인 영향력을 끼쳤다. 김일성 및 북한 지도부가 남한 대비 우월한 해군을 양성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소련의 도움 덕분이었다. 1945년 8월, 소련 해군은 북한 지역에 가장 먼저 진입했다. 당시 대일전에 참전했던 소련 해군 태평양함대가 북한 지역에서 상륙작전을 수행했고, 해당 항구를 점령한 뒤에는 통제체제를 구축했다. 또한 군정 초기부터 소련은 북한 해군력 창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