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1940년대 나치에 대한 미국의 우표심리전, 남북한 및 일본의 독도우표 분쟁, 2020년대 현재진행형인 우크라이나 전쟁의 선전선동 우표 활용을 살펴보며 우표의 영향력과 의도 등을 확인한다. 제1장에서는 북한우표를 정의하고, 북한우표가 어떻게 계획되고 발행되고 활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북한의 선전선동 이론을 정리하고, 소련과 나치 등의 전체주의 체제 선전선동(agit-prop)과 우표 활용을 소개한 뒤, 분석틀로 적용할 ‘정치적 상징조작 이론’에 관하여 서술한다.
제3장부터 제5장은 북한의 지도자별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발행된 지도자 상징 우표, 직관선동 우표, 예술선동 우표 등의 선전선동 우표를 분석한다. 제3장은 우표에 나타난 김일성을 ‘위대한 어버이수령’으로...
[정치/군사]
...갖고 핵무장을 향한 대장정에 나서기 시작했다. 북한과 소련 간의 핵협력에서 시작된 이 핵무장 시도의 초창기 역사를 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초기단계의 북한 핵활동이야말로 북한의 시각에서 북한 핵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첩경이며 북한의 의지와 정신이 가장 방해받지 않고 왜곡되지 않은 순수한 형태로 배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북한 핵개발의 전사(前史)라고 할 수 있는 초기의 핵무장 추구 과정부터 2017년 사실상 핵무장을 완료하기까지 반세기에 걸친 북한 핵무장의 역사를 폭넓게 서술하면서, 한순간도 뒤로 물러섬이 없이 치밀하고 집요하게 진행된 북한의 핵개발 과정을 촘촘하게 복원한다. 저자는 이 과정에서 흔히 간과되었지만 충분히 읽어낼 수도 있었던 북한의 의도와 속내를 다양한 자료와 근거, 정황들을 통해 들여다보고...
[정치/군사]
...떠오르는 미국 트루먼 대통령과 맥아더 사령관이 한국전쟁에 개입된 여러 관점을 놓고 대립하는 장면을 ‘웨이크섬 회동’을 비롯해, 각종 전보의 교신에서 쌓인 불신과 맥아더의 언론 플레이로 인해 빚어진 갈등 등으로 비중 있게 다뤘으며, 중국인민지원군 지휘관 펑더화이가 적군인 한국과 미군을 대상으로 한 3차 전역을 도중에 중지한 것을 두고 소련과 북한(특히 김일성)의 심경이 불편했던 상태였음을, 이들이 벌인 날선 대화를 통해 보여주었다.(666~670쪽 참고)
이밖에도 각종 전단지 살포와 방송을 통해 적군을 회유했던 한국전쟁 당시의 모습도 저자는 빼놓지 않았다. 중국군 저지진지의 최전방에 설치된 미군의 대형 나팔 속에는 투항을 권하는 부드러운 여자의 음성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중국군...
[학술논문] 장편서사시 『白頭山』 연구 -창작 의도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creative intention of long epic poetry 『Mt. Baekdu』 by Jo Gi-cheon, which was evaluated as a work that showed a classic of anti-Japanese revolution literature in North Korean literature. Jo Gi-cheon already released a novel titled <49> in the Soviet Union before creating 『Mt. Baekdu』. The contents were what embodied the heroic anti-Japanese revolutionary
[학술논문] 제2의 해방: 북한 자주화와 1956- 57년의 중국-북한관계
...11월 초 김일성과 비슷한 정치적 압력을 받고 있던 헝가리에 대한 소련군의 무력개입과 뒤이은 헝가리 임레나지(Imre Nagy) 정권의 붕괴는, 김일성의 불안감을 극도로 자극하였다. 이에 김일성은 ‘조선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 테이블에 유엔을 초청”할 것을 중국과 소련에 제안하고, 동시에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 요구로 맞섰으며, 양국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 김일성의 철군요구에 마오쩌뚱은 대화를 통해 양국간의 긴장을 완하시키는 소위 ‘폴란드식 해결’ 방법을 선택하였다. 1956년말 중국은 중국인민지원군 철수를 결정하고, 1957년 1월 소련의 동의를 얻었다. 1957년부터 중국은 북한에 대한 대규모 경제원조 제공을 재개하고 일체의 정치적 간섭을 중지하면서, ‘김일성...
[학술논문] 해외 기록영화에 담긴 해방 전후 남북한의 사회상 비교
...영상물은 촬영 당시의 기획자의 의도가 가미된 편집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미국은 공보부라는 민간영역 뿐만 아니라 군대에서도 많은 영상물을 생산했다. 미군 육군통신대는 미군 진주 직후부터 순차적으로 한국의 정치ㆍ사회적 상황을 촬영했다. 공보부 제작 영상들이 많이 소실된 것에 비해 미군이 생산한 영상들은 많은 분량이 현재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남아있다. 그리고 NARA는 한국전쟁 시기 미군이 노획한 북한의 기록영화도 다수 소장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 글은 미국과 소련, 남한과 북한 등 촬영 주체가 다른 기록영화를 서로 견주어 보면서 해방과 분단의 남북한 사회상과 미ㆍ소의 이미지 전략을 살펴보고자 했다. 38도선을 경계로 일본군을 무장해제 시키기 위한 명목으로 진주한 미국과 소련은 냉전으로 변모하는 국제정세...
[학위논문] 한반도 분단과정 연구
...보이는 가운데 한국내에서의 이념적 갈등과 권력투쟁적 요인이 추가됨으로써 이념과 체제를 달리하는 두 개의 국가가 1948년 한반도에 탄생하는데 가속적 작용의 결과에서 비롯되었다.
이렇게 볼때 한반도 분단과정에는 미국과 소련이 철저한 대립가운데서 결과했다는 결과론적인 의미에서 한반도 분단과 정의 유형은 독일과 같은 ‘국제형’ 즉 ‘외인론적 경향성을 지닌 복합형’이라 할 수 있다. 미국과 소련의 의도와 관계없이 신탁통치안을 ‘적극찬성’했거나 아니면 끝까지 ‘절대반대’했더라면 민족분단을 극복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의미에서 ‘내쟁형’으로 즉 ‘내인론적 경향성을 지닌 복합형’으로...
[학위논문] The Political Dynamics of U.S. nonproliferation Policy : the Case of North Korea
...of North Korea.
미국 핵 비확산 정책의 정치적 동학: 북한의 사례
통일정책전공 김 효 진
지 도 교 수 남 성 욱
본 논문은 북한의 핵 의지 사례를 통해 동북아에서 미국의 비확산(nonproliferation) 정책이 어떻게 구현돼 왔으며 핵 보유와 억지라는 불균형한 불확실성이 현재의 핵 비확산 체제 아래서 과연 효과적으로 관리돼 왔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주된 연구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 비확산 핵 투명성 확보를 통해 전세계 핵 관리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현재의 핵 레짐과 미국의 핵 정책이 핵무기 개발을 추구하는 강한 핵 동기를 가진 국가들의 의도적인 핵 보유 의지와 핵 능력의 불확실성을 관리 가능한 체제의 규칙(Governance)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