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비자문화변용 과정에서 소유물이 가지는 문화변용동인으로서의 역할: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
...소유물(possessions)이 가지는 문화변용동인(acculturation agents)으로서의 역할에 대하여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소비자문화변용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민속지학적(ethnographic) 방법을 통하여 총 11명의 북한이탈주민들을 심층면담하였다. 먼저 정보제공자들이 한국으로 이주하기까지의 이주과정과 그들이 겪은 이주 전후의 소비 경험, 그리고 북한에서 가져온 물건과 한국으로 이주하여 새로이 구매한 물건들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리고 Berry(1974, 1980)의 문화변용 모델에 기반을 두어, 정보제공자들의 문화변용 결과를 동화(assimilation), 통합(integration), 분리(segregation), 주변화(marginalization)로 구분하였고, 그들의...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서 경험하는 소비행위의 의미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이 북한의 경제체제와는 완전히 다른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에 노출되면서 ‘소비’한다는 것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그리고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의 소비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10명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 참가자들은 대부분 북한에서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탈북을 시도하였고, 이러한 상황은 이들이 북한에서 자본주의적 의미의 소비자로서 소비하는 행위는 거의 경험해보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들은 ‘의식주’가 아니라 ‘식의주’로 불리는 북한식 단어를 이야기하며 그만큼 북한에서는 ‘생존’ 그 자체가 상당히 절박한
[학술논문] 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경험가치가 재구매의도와 동질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
...나타났다. 재구매의도는 동질성회복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보통크기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은 북한 향토음식의 영양, 맛, 품질 등의 본질적 가치와 낯선 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호기심, 진귀함 등의 진귀적 가치를 재구매의도를 형성하는데 중요시 하게 여기며 이를 위한 충분한 지불의사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북한 향토음식의 소비경험을 통해 긍정적으로 형성된 재구매의도는 남북 간의 사회적, 문화적 이질감을 감소시키고 하나의 민족 동질성성을 회복하는데 긍정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외식기업의 북한 향토음식의 소비경험을 통한 재방문의도 제고 전략은 경영성과는 물론 북한 향토음식의 외식 상품화를 통해 민족 동질성까지 유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사료된다.
[학위논문] 김정은 시기 북한의 농업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북한 주민들의 식품 소비변화에서 주식은 탈북시기가 최근일수록 하루 식사량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김정은 집권 이후에는 주식의 질적 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식인 돼지고기 섭취는 김정은 집권 초기보다 후반부로 갈수록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식과 기호식품은 주민들이 시장에서 구매를 통한 소비 경험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민들이 주식인 쌀, 옥수수 등 곡물뿐 아니라 다양한 먹거리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 주민들이 곡물 위주에서 벗어나 부식과 간식, 기호식품으로 식품소비가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김정은 집권 초기보다 후반기로 갈수록 외식 경험 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북한 일부 주민들의...
#경제연구 #텍스트마이닝 #독립채산제 #유기농업 #농업 중점정책 #대북제재 #농업정책 #식량문제 #경제개혁조치 #농촌건설강령 #소비행태 #식품소비 #식품공급 #식품수요 #소득 #Economic Research #Text mining #Independent accounting system #Organic farming #Agricultural Priority Policy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gricultural Policy #Food Security Issue #Economic Reform Measures #Rural Construction Initiative #Consumption Behavior #Food consumption #Food supply #Food demand #Income #김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