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민지 시대 ‘북청’의 지역성과 함경도적 기질성
...긍지가 가득했다. 지역문학의 방법론으로 북청의 지역 정서를 증명하고자 할 때 제일 먼저 언급되어야 할 작가가 송계월이다. 송계월의 소설과 수필은 고향 북청을 배경으로 하는 글이 많다. 단순히 고향의 풍경을 점묘(點描)하거나 애정 어린 향수를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지리적 환경에 대비한 강인한 생활력과 정신력을 찬양하며 과도기 조선인들의 나약한 정신력에 대비하여 하나의 이데올로기적 지향점으로 서술하고 있다. 북청에서의 유년 시절은 송계월의 사상 형성에 주요한 동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성실함, 근면함, 높은 교육열 등의 북청 지역성은 식민지를 타계할 수 있는 민족정신의 지향점으로 제시된다. 특히 송계월은 자본주의의 기세를 물리칠 대안으로 함경도 여성의 ‘노동을 통한 경제적 독립’과 ‘교육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