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조령산성의 운영과 수성절목
...관리토록 되었다. 이 밖에 성내에 거주하는 300호 이상의 주민들로 거주민 위주의 지역 군대조직을 하도록 하고, 또 성안에 있는 사찰의 승려들로 약 50명 규모의 승군을 조직하여 개별적 사격기술 연습과 봄과 가을에 모여서 합동 군사연습을 하도록 조목이 마련되었다. 당시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여 신분제에 기초하여 군역(軍役)을 경제적 부담으로 대신하는 수첩군관은 300명에서 550명까지 확충되도록 규정하였고, 이들에게도 형식상 사격기술을 습득하고, 합동 연습에 참가토록 규정되었다. 성벽의 수축은 대규모 수축의 경우는 산성창고의 조적(糶糴)을 통한 이자로 받은 곡식과, 군사들이 군역 복무 대신 내는 신역 세로서의 포목, 승군의 동원 등으로 하도록 규정하였다. 그러므로 각종 기록에 조령산성 관련 조적의 관할 기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