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신년사의 언어체계 분석(1995-2015): 통일, 남북관계 부문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통일 및 남북관계 부문 신년사에 담긴 시기별 내용의 변화와 영향 요인 검토를 통해 신년사가 대남정책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언어학자 오스틴(J. L. Austin)의 언어행위이론 중에서 ‘6가지 수행적 발화 요건’을 토대로 신년사의 발화문을 분석하였다. 특히 신년사의 신뢰성에 대한 언어행위적 특성을 중심으로 언어행위가 지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년사의 발화문은 수행적 발화 요건을 갖춘 언어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년사는 북한 주민들을 포섭하는 지배이데올로기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계량적 행위적으로 밝혔다. 신년사에서 다뤄지는 남북관계 부문은 발화문의 내용과 관계된 외부 행위자(미국, 남한 정부)의 행동 변화를 목적으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