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신체제 성립기 ‘반공’ 논리의 변화와 냉전의 감각
...proactively. It sought a new direction when the regime rolledback freedoms to escape the political crisis, adopting a new strategy of “knowing communism(知共, jikong)” and “defeating communism(勝共, seongkong)” with a consciousnessto properly know communism. Yet the accumul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had the opposite of the intended effect in familiarizing the population with communism...
[학술논문] 혁명주체의 실정화와 혁명담론의 주조술 - 『최고회의보』를 중심으로
...4월혁명과 달리 5․16군부세력은 혁명의 주체성을 강화하고 혁명의 목적을 분명히 밝힘으로써 국가재건의 중심을 강력하게 장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혁명과 경제재건을 결합시킴으로써 혁명의 물질성을 강화했으며, 구심점이 없는 혁명의 기운을 ‘군사혁명=인간혁명=국가혁명’이라는 도식으로써 실정화하고자 했다. 셋째, 반공이념과 경제재건을 결합한 승공이념을 통해 공산주의를 적대적 타자로 설정함으로써 개인적 자유를 억압하고 군부정권 통제 하의 공론 주체를 형성하고자 했다. 이는 4월혁명 이후의 통일론에서 승공론으로의 완전한 방향 전환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고회의보』는 1960년대뿐만 아니라 1960년대 이후의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군사정권의 이데올로기가 기원적으로 작동했던 매체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학술논문] 1960년대 한국의 중립국 및 공산권 정책 수정에 대한 논의
1961년 5.16 군사쿠데타 이후 한국 외교정책은 반공에서 승공으로, 이데올로기외교에서 실리외교로, 대미일변도에서 다변화로 수정되었다. 이에 따른 가장 구체적인 변화는 중립국 외교 및 공산권과의 교류 확대의 필요성이 구체적으로 제기된 것이다. 본 연구는 1960년대 한국의 중립국 외교 및 공산권 교류 확대에 대한 정책 변화를 외무부 사료를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이에 대한 야당, 학계, 언론계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이 시기 반공외교가 재정의된 정책적 맥락을 역사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1960년대 중반에는 중국의 핵실험, 북한의 자주성 선언, 미국의 중국정책 변화, 중소분쟁과 미소공존정책 등과 같은 급격한 정세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대응해 한국 외무부와 야당, 학계, 언론계 등 각계의 정책 결정 및 여론 주도층은...
[학술논문] 남북한 동반과 화합을 위한 통일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담론 모색
사회적 담론의 지형은 당대 현안의 처리 방향 및 방식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바람직한 통일 정책은 그에 적합한 통일 담론을 배경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통일 담론은 그에 미흡하며, 그것은 구세대의 통일 및 북한 관련 의식과 새로 형성된 의식이 교육 내용과 원칙에 모순되게끔 배열, 교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비효과적 통일 담론은 승공통일론, 통일부담론, 통일대박론 등으로 나눠볼 수 있으며, 각각 합목적적 부당성과 교육현장에서의 비효과성을 지닌다. 이에 대안적 통일 담론의 형성을 위하여 화해, 조화, 공화라는 관념을 중심으로 하는 ‘삼화(三和)의 통일담론’을 제시한다.
[학술논문] 남북 간 평화통일 논의 회담의 기능주의적 요소 연구
지금으로부터 30년 전 개최되었던 문선명 총재와 김일성 주석의 회담은 일찍이 기능주의적 통합을 염두에 두고 세계적인 반공-승공 지도자와 대표적 공산주의자인 북한 최고권력자가 남북관계 개선과 평화통일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가진다. ‘문선명-김일성 회담’의 합의 성과와 실천 노력들은 남북 간에 경제, 사회, 문화 등 비정치적 제 분야에서의 상호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 정치적 통합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이론적 바탕을 기능주의에 두고 있다. 다차원적인 남북 간 경제교류협력과 사회· 문화교류가 근간이 되어 분야별 기능적 통합과 상호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전쟁을 방지, 정치적 갈등과 대립, 이질감 해소 등을 통해 한반도 평화통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