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이통일에 대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기존 태도가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는 북한 관련 이슈에서, 통일과 북핵 위험에 대한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인식에 따라 언론 보도 메시지의 해석 수준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지 실험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통일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추상적인 메시지보다는 구체적인 메시지가 통일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데 반해, 통일에 대한 추상적인 보도는 시간 거리감 인식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북핵의 위험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멀게 인식하는 경우보다 북핵을 구체적으로 보도하는 메시지가 전쟁위험 인식을 높이는 반면, 북핵을 추상적으로 보도하는 메시지는 북핵 거리감 인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이 구체적인 메시지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여론...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 상징정치이론과 경제이익이론을 이용한 시계열 분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특히, 선행연구들이 특정 시점에 국한된 분석을 실시하거나, 설사 시계열적 분석을 실시하더라도 단순히 그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만을 분석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의 시간적 범주에서 통시적인 조망을 시도하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근감 및 수용태도 양자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를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에서 동시에 검토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인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는 상징정치이론에 의해 설명되는 바가 컸다. 이 변수들은 10년의 조사기간 동안 비교적 일관된 영향력을 행사했다. 둘째, 상징정치이론보다 설명력이 떨어지지만 경제이익이론의 일부 변수들 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