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으로 본 북한사회 내 정보 이동성과 커뮤니케이션 구조 분화
...연결망으로 포획되면서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일상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은 생존 연결망, 경제 연결망, 정보 연결망과 상호 조응하면서 새로운 권력과 저항적 실천 담론을 생산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사회 내 행위자-연결망은 폐쇄적인 공간과 지역이 다층적으로 교차되고, 개방성, 관계성, 통치성이 확대됨과 동시에 연결망을 통한 시간과 권력의 재구조화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행위자들이 북한사회 내 형성된 연결망을 통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재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체된 북한 커뮤니케이션 구조에서 나타난 새로운 행위자-연결망의 탈구와 착종 현상은 정보 이용 사사화, 후견인제도의 일상화, 시공간의 사회적 재구성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