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5・15 서울역 회군과 5・27 결사항전 비교 연구
이 연구는 5・15 서울역 회군을 이끌었던 서울대 학생지도부와 5・18 항쟁의 주역 가운데 하나인 윤상원과 시민군의 5・27 결사항전에 초점을 맞춰 두 개의 사건이 한국 민주주의의 전개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 역사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비교사적 방법을 통해분석한다. 두 사건의 공통점은 1980년 5월 대한민국에서 신군부의 권력욕이 작동한다는 점에서동일한 역사적 정치적 조건 위에 있었다. 시간적으로 5・15 서울역 회군 직후에 5・18 광주민중항쟁이 발생한다. 하지만 두 사건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5・27 전남도청에서 윤상원과 시민군은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맞닥뜨리자 결사항전으로 죽음을 선택했다. 반면 5・15 서울역 회군에서학생 지도부가 공수부대가 투입된다는 공포로 인해 후퇴를 선택해,...
[학술논문] 이스라엘의 군사혁신과 한국군에의 시사점
...보편적 개념과 원리를 그대로 적용한 것은 아니지만, 전쟁 수행 개념 및 방식의 특이성과 군사기술 및 전력체계의 우월성은 군사혁신의 성과라고 볼 수 있다. 핵무기 및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정보·감시·정찰 위성, 다층 공중·미사일 방어체계, 정찰·공격 무인항공기 등 기술집약적 전력을 확보했다. 시민군제도, 통합군체제, 정찰-타격 복합 전력 운용 개념 및 신 전격전 교리, 특수전 및 정보·사이버전 조직, 탈피오트제도 등 혁신적 방위체제와 작전운영개념 및 조직을 발전시켰다. 한국군은 이스라엘의 군사혁신을 참고하면서 한반도형 군사혁신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첫째, 북한의 핵·미사일 등 핵심 군사위협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비대칭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