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홍근의 월남 동기와 월남 직후 동시의 주체 형성
...초월한 그의 시적 사유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 등단 작품과 월남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는 카프의 영향에서 벗어난 시기인 1946년에 등단하였다. 한편 그의 집안은 경제적으로 넉넉한 편이었다. 그는 일본 유학을 다녀온 엘리트로 자유로운 성격의 소유자였다. 이런 그의 환경은 주체사상을 노골화하던 북한 체제와 맞지 않았을 것이며, 분단과 6ㆍ25전쟁이 호출한 이데올로기의 호명을 거부하고 동심으로 세계를 역구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동심을 타자(이데올로기)와 나란히 놓음으로써 시적 주체를 구성하였다. 즉 그의 동시는 자아와 세계를 둘러싼 이데올로기의 갈등을 이러한 동심으로 치환시켜 놓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鄕愁와 이데올로기를 동심으로 전이시켜 활달한 시적 주체를 드러냈다...
[학위논문] 통일이후 북한 고용제도의 재편에 관한 연구 : 공기업민간기업의 고용제도를 중심으로
...실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북한 주민의 남한으로의 대량 이주를 억제하기 위해 인센티브 제공 등 경제적인 방법으로 북한 잔류 유인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한의 고용관련 법률들을 그대로 북한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에, 완전한 법제도적 통합을 달성하기 전까지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북한 법률을 선별ㆍ검토하여 예외적ㆍ한시적으로 효력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고용관련 법제의 방향으로써, 영역별 상황에 따라 세분화 된 특별규정들이 제정될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① 현행 북한의 인력배치제도의 한시적 효력 부분 유지 및 한시적 경과, ② 통일정부의 고용정책의 수립 및 추진체계, ③ 노동특별위원회 설치, ④ 근로자의 고용촉진 및 공기업ㆍ민영기업의 인력확보 지원, ⑤ 고용조정...
[학술논문] 한반도 에너지 전환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
...‘바람직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한반도 공간의 미래상의 일부로서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개념화하고, 한반도 에너지 전환이라는 미래 만들기의 상상력을 촉진하고자 앙리 르페브르가 제시한 ‘도시적인 것’의 사유를 전유한다. 기존 도시 에너지전환 논의는 도시의 성장을 가능케 한 비도시 지역에 배치된 자원 매장지, 발전소, 송전선 등이 갖는 공간성과 비도시와 도시 간의 관계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대안적으로 본 논문에서 필자는 도시적인 것의 사유를 통해 비도시 지역에 대한 관계론적 이해가 어떻게 남한과 북한을 아우른 한반도의 에너지 전환을 촉진할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지를 탐색한다. 한반도 공간을 도시적인 것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사회학적, 지리학적 상상력은 동북아시아 냉전구도가...
[학술논문] 주체사상 시기 북한 서정시에서 요구되는 ‘서정성’의 실체-1980년대 북한 서정시를 중심으로-
...의미하기 때문에 자연의 아름다움은 곧 사회주의 조국의 소중함을 의미하며, 아름다운 자연에 대한 예찬은 곧 사회주의 조국에 대한 예찬을 의미하는 것이다. 1980년대 북한 서정시에서는 비유적 표현 등의 형상수법을 통해 시인의 개성을 발현할 것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북한의 서정시에서 사용되는 ‘비유적 표현’ 가운데 가장 주목해 보아야 할 시적 대상은 ‘가족’이다. 1980년대에는 어버이 대신 ‘어머니’가 부각되고 있으며, ‘어머니와 자식’의 관계는 ‘당과 인민’의 관계를 비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1980년대의 ‘가족시’가 추구하는 것은 ‘어머니 당’에 대한 인민의 신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