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근현대사에서 공생적 관점의 도입과 협동조합운동사
사회적 경제와 공유론, 그리고 공생사회론은 국가-사회-개인의 상호협력사회구조를 만들고, 시민의 주체성이 살아있는 사람중심의 사회경제로 전환하자는 사회운동과 연결되어 있다. 한국사회를 분단과 갈등, 자본주의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런 균형을 만들어가려는 움직임은 잘 보이지 않는다. 이 연구는 일제하 신국가건설론과 남북한 협동조합운동의 흐름을 검토하면서 한국근현대사 속에서 공생사회를 지향하는 움직임이 어떻게 맥락화되었는가를 살펴본다. 해방 후 남북한에서 제기되었던 협동조합정책은 일제하에 형성된 여러 세력들의 국가론 / 경제론과 연결된 협동조합론 사이의 협력과 경쟁의 과정이자 결과물이었다. 그리고 남과 북의 경제체제는 공통적으로 협동조합을 사회의 기초에 놓고 있다. 특히 북한의 인민민주주의체제와 남한의 제헌헌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