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이 연구에서는 재외동포 현지 교과인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을 ‘모국어 교과’, ‘분단 상황에서의 중간자적 언어 교과’, ‘재외동포 현지 교과’ 차원으로 구분하여 그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첫째, ‘조선어’ 교과는 ‘모국어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중국 내 공용어로서의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의 위상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공용어인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에 대한 조선족의 인식 실태 조사를 학생,
[학술논문] 남한 주민을 위한 북한어 어휘 교재 개발
본고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을 기반으로 남북한 간 이해와 소통을 위한 어휘 교재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 놀이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어휘 교재 개발 방향을 논의한 연구이다. 신명선 외(2012)와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2017)의 연구에서 추출한 놀이문화 어휘를 검토하고 아직 발굴하지 못한 어휘를 수집하기 위해 2012년 개편된 북한 국어 교과서 속 놀이문화 어휘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북한 놀이문화를 소개하는 동영상 속 어휘도 추출하였다. 조사된 어휘가 북한에서 잘 활용되는 어휘인지 검증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3명의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교재는 상호문화이해를 기반으로 이야기 속에서 어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입-전개-확장-생각해 보기] 등 4단계로 구성하였다. 전체 구성 중 두 개의 단원을 샘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