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해 상경성의 세계유산 등재 전망 및 제언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세계유산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이 향후 발해 상경성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한다면 등재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기존 유사 사례에 비추어 전망해보았다. 그 결과 상경성 유적은 발해의 대표 유적으로서 높은 가치가 있고, 중국 정부가 보존 관리에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일부 유적의 진정성 논란이 있겠지만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것으로 예상된다. 상경성 및 발해 유적은 중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아직 들어 있지 않지만 중국이 최근 소수민족 관련 유산을 세계유산에 등재하는 경향을 강화하고 있어 향후 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중국이 최근 상경성에 대한 대규모 발굴을 마치고 유적정비 작업을 한창 진행하고 있어
[학술논문] 발해유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전망과 대응 방안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 고구려유적 관련 도시들의 근황을 소개하는 것을 시작으로 중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및 세계유산 현황, 발해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전망, 마지막으로 유적 정비의 문제점과 중국의 발해유적 세계유산 등재 시 한국의 대응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은 2010년 이후 접경지역 소수민족 유산을 세계유산 잠정목록 및 정식목록에 중점 등재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 영토를 기준으로 과거 동아시아 여러 민족들을 중국인의 범주에 넣고 중국사로 서술하는 움직임을보이고 있다. 발해유적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록하려는 중국의 최근 의도계획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추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 내 발해유적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발해유적의 가치와 현재 보존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