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란봉악단 ‘신작음악회 공연’ 의미와 시사점
...축하공연을 주도하였고 현재는 북한 문화예술분야의 ‘모범집단’으로 자리 잡았다. 주목할 공연은 2014년 9월 진행된 “모란봉악단의 신작음악회”이다. 이 공연은 이전의 모란봉악단 공연과는 다르게 김정은 시대의 창작곡으로만 구성되었으며, 특정 행사를 기념하는 성격이 아니라는 특징이 있다. 이는 신작음악회에서 발표된 노래와 공연구성을 통해 김정은 시대의 한 단면을 보다 명확히 찾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모란봉악단이 신작음악회에서 선보인 신곡들의 내용과 구성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작음악회의 신곡과 공연구성이 의도하는 정치적 의미를 살펴보고 북한체제의 특성을 연계하여 시사점을 살펴본다. 이번 공연에서 발표된 곡들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할 수...
[학술논문] 2010년대 북한 중앙음악단체의 민족악기 편성 양상
...중 현재 중앙에서 활동하는 음악단체들의 민족악기 편성 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은하수관현악단의 2011년 2월과 2012년 3월의 파리공연, 그리고 민족관현악과 부분배합편성의 형태를 볼 수 있는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의 2013년의 4월과 9월 공연, 마지막으로 김정은의 세습이후 2012년에 창단된 모란봉악단의 2014년 9월 <신작음악회>를 살펴보았다. 은하수관현악단은 전면배합관현악편성으로 연주하였으며, 양악기와의 민족음악연주가 전혀 어색하지 않은 연주기술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 역시 전면배합관현악편성이 보이기는 하였으나 은하수관현악단의 것과 민족악기의 위치가 달랐다.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의 공연에서는 이 외에 소규모의 민족관현악편성과 배합편성이 있었는데 모두 아코디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