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꽃 파는 처녀』의 신파성과 대중성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경찰・군수 등과 결탁한 배지주 부부와 갈등을 기본조건으로 하고 꽃분이 일가의 수난과 혹독한 삶이 작품의 전체적인 줄거리를 이루고 있다. 『꽃 파는 처녀』는 항일혁명의 전통과 인민대중의 사상무장과 계급교양이라는 대원칙과 창작방법에 충실한 작품으로 주체예술의 전형이자 정전(正典)으로 통하지만 이념의 잣대를 걷어내고 오직 스토리와 미적 형식만을 놓고 본다면, 신파극이나 대중소설에 가깝다. 『꽃 파는 처녀』의 신파성과 통속성은 일차적으로 인민대중을 위한 예술 곧 문학예술을 통한 사상교육과 당을 위해 복무해야 한다는 사회주의 문학의 대원칙을 구현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다. 요컨대 목적과 원칙에 대한 강한 지향이 작품의 신파성과 통속성이라는 미적 부작용을 배태하게 된 것이다. 『꽃 파는 처녀』의 주요 스토리텔링 전략은 정형화한...
[학술논문] 한국창극사를 통해서 본 해방공간 창극 연구
...<단종과 사육신>, <만리장성> 등 수준 높으면서도 흥행력을 지닌 작품들을 단체마다 이른바 3개월에 한 편 꼴로 내놓았다. 서울에서의 공연 후 지방의 30개 도시를 도는 데 3개월 정도가 소요되었기 때문이다. 당시는 국산영화가 초기 단계였고, 외국영화의 수입도 제한되어 있어 서울을 비롯한 전국 도시들의 극장들은 악극(樂劇), 창극, 신파극, 신극(新劇), 버라이어티 쇼 등 이른바 무대공연 시대였다. 창극은 수준 높은 민족예술적 면이 있는 동시에 대중적 흥행력도 지니고 있어 상층의 문화인사들이나 일반 대중들이 모두 일정한 관심을 가졌기에, 광복을 맞은 새로운 조국에서 실로 우리 민족의 가장 대표적 공연물이 될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창극 현장에 오랫동안 있었던 박황(1917년생)은 해방공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