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특성 비교 연구: 지도자 우상화의 ‘신화적 사고’ 접근 유·무 비교분석을 중점으로
...유훈통치 속성상 일반적으로 김일성 시기를 가장 높게, 다음은 김정일, 그 다음은 김정은 시기 순으로 평가하기가 쉽다. 과연 그럴까? 이 질문으로부터 본 연구는 출발했다. 북한의 지도자상징정치는 지도자 우상화와 직결된다. 따라서 연구방식은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그 특성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 김일성-김정일 우상화에 있어 ‘신화적 사고’ 방법으로 접근했는지를 집중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김일성-김정일을 신출귀몰한 초능력·초인간적인 인물로 묘사했는지 그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김일성원수님 어린시절』(1968),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선생님 어린시절』(1975)과 인민학교 국어교과서(1960년대~1990년대), 그리고 『김일성 전설집』(1987)...
[학술논문] 북한 주체사상의 기독교적 신앙체계에 관한 연구: 율법-복음의 관계와 주체사상체계 변화의 등가성 및 선교 공략점 제시
...‘신들림’(신화적 사고)의 현상이 엷어지고 있다는 증거이다. 김정은이 30대 초반의 젊은 나이인 것이 하나의 요인일 수 있다. 하지만 가장 핵심 변인은 북한주민들이 외부세계에 점점 노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그들로 하여금 지도자 김정은에 대한 ‘신화적 사고’가 점점 엷어지게 하는 동인으로 작동되었다. 즉, 지도자 인상에 대한‘신들림의 현상’에서 점점 깨어나고 있다. 바로 이 지점이 북한선교 공략점이다. 계속해서 북한주민들로 하여금 외부세계에 대해 눈을 뜨게 함으로 지도자에 대한 ‘신화적 사고’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지도자 인상에 신들려 있는 그들을 깨어나게 하여 자율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상식적인...
[학술논문]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디지털 고구려박물관 전시
...전시 공간이 적극 도입되어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디지털 고구려박물관의 전시 공간은 고구려 역사의 전개에 따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고 시기별 전시실을 둘, 또는 셋으로 나누어 관람객이 역사와 문화를 동시에 알 수 있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 초기의 두 전시실은 각각 유화의 방, 온돌 위의 하루다. 관람객은 두 전시실을 통해 고구려 성립 초기의 신화적 사고 및 고구려 주거문화, 음식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중기의 두 전시실은 군마의 발굽, 색동치마다. 각각의 전시실은 영역 확장을 통해 고구려 문화의 영향권을 확대시킨 중기 고구려사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고, 5세기 전성기 고구려의 화려한 문화를 복식문화와 함께 만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후기의 세 전시실은 각각 청룡과 백호, 천리장성, 하늘이다. 관람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