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람의 국학운동과 이태준 - ‘조선어’ 문학의 구상
...휘문고보에서 스승과 제자로 처음 만나 1929년 이태준이 『학생』지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이병기가 이 잡지에 글을 실으며 편집에도 관여하는 흔적을 볼 수 있다. 『문장』지 주간으로 활약하게 된 토대가 있었다. 가람의 시조론은 기존 연구사가 밝히고 있듯이 후스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후스의 영향은 이태준의 『문장강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실감실정론에 근거하여 후스가 말한 바 '국어의 문학'을 조선에서도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가람은 1924년 신미사학을 샀는데, 이는 가람의 조선어 교육뿐만 아니라 시조론에도 영향을 끼쳤다. 시조에 사용된 수사법을 「시조와 그 연구」에서 설명하고 있거니와, 이는 이태준이 『문장강화』에서 간결체와 만연체, 강건체와 우유체, 건조체와 화려체 설명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