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0년대 북한 문학 감성과 새 세대의 감수성
...시대정신을 구현하는 사회주의 현실 주제 작품에 주목하여 생활미를 분석하고 새 세대의 감수성을 살펴보았다. 선군시대 생활미는 생활 속 미적 현상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생활에서 감동을 줄 수 있는 아름다움은 숭고, 숭엄, 웃음, 낭만, 사랑 등으로 형상화되며 이에 관련된 이야기들은 북한 주민들에게 열정과 감화의 서사로 작용한다. 또한 선군시대 시대정신은 심리묘사와 소박한 인간 묘사를 통해 구현되고 있다. 선군시대 단편소설에서는 풍요로움과 낙관적 미래를 제시하여 북한 주민을 독려하고 있지만 새 세대의 감수성을 살펴보면 명분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는 균열된 감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본고는 주체시대에서 선군시대로 변화되는 북한 체제에서의 감성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주체시대에서 선군시대로 변모하는 시기의 북한 문학을...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발휘하여 이름 없는 민중들의 넋에 생명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성 담론과 언어 형상에 있어 이전의 다른 역사소설과 변별되는 점을 지니고 있다. 토속적이고 질박한 어휘를 구사하고 민중들에 대한 생생한 표현을 하여 역사소설의 진실성과 예술성을 획득하고 있다. 작품 전반부에서 보여주는 갈등 제시의 긴밀성과 사건 흐름의 긴박성, 자연형상과 고유어의 묘미를 통한 심리 묘사 등의 소설 미학은 후반부로 갈수록 느슨해지고 산만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성 담론은 다른 북한 소설에 비해 과감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일본의 성 풍속은 야만적이고 변태적인 것으로 그리고 조선의 성 풍속은 고상하고 대의를 위한 일부분으로 그려져 이분법적인 도식성을 보인다. 이러한 성 담론은 조선민족제일주의를 나타내기 위한 또 다른 일환으로 해석된다. 속담과...
[학술논문] 『조선문학』(1970∼1979)에 게재된 1970년대 북한문학의 대표 단편소설 연구: 사회주의적 이상과 비판적 현실 인식을 중심으로
...게재된 북한의 대표적인 단편소설들은 세부 묘사의 진실성과 더불어 인물의 입체적인 생동감의 측면에서 사회주의적 인간의 실질적인 형상을 포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수령의 말씀과 지도’를 따르는 ‘영웅적이고 헌신적인 소조원’ 등의 인물보다 오히려 그들에 의해 개조되거나 개선되어야 할 이기적이고 보수적인 인물들이 북한 사회의 실존하는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수령형상문학이나 3대혁명소조운동에 기여한 긍정적이고 고상한 인물들이 주체문학론의 모토 속에 ‘주제적 차원의 종자’를 그려내는 인물들일 수 있겠지만, 도식적인 해결이 드러나는 결말 이전에 드러나는 다양한 인물들의 대립과 갈등이나 심리 묘사가 북한 소설의 리얼리티를 보증하는 대목이라고 판단된다.
[학술논문] 섬뜩한 심리 묘사와 ‘실재에의 열정’-박완서 소설에 대한 존재론적 독해-
본 연구는 박완서 소설의 섬뜩한 심리 묘사가 정신분석의 ‘실재’를 활자화하는 하나의 방법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인간 본성의 분열적 면모인 실재를 묘파하는 박완서의 작가정신을 ‘실재에의 열정’으로 새롭게 정위할 것이다. 이는 소시민성이나 허위의식에 대한 비판과 풍자 혹은 냉소 정도로 읽혀왔던 박완서의 작품 세계를 인간 본성의 근원적 지점을 탐구하는 것으로 재정의하는 일이다. 정신분석은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은폐되어야 하는 것, 그러나 분명히 실존하는 어떤 것을 지칭하기 위해 ‘실재’ 개념을 사용한다. 이는 의미상 ‘가상(외관)’과 대응되는 개념으로, 가상이란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서 영위하는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