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학생의 쓰기 태도와 쓰기 효능감 양상 연구
... 쓰기 효능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글쓰기 교육에 앞서 쓰기 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 일상생활에서 쓰기 활동이 갖는 의미에 대해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교실 상황에서 쓰기를 할 때 협동학습과 같이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불안을 낮추고 쓰기에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쓰기 결과물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쓰기 학습에 대한 북한이탈 중학생의 요구 분석 연구
...쓰기 학습 영역에 한정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 학습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북한 이탈 중학생은 쓰기 능력의 중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으나 쓰기 활동에 대한 흥미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에서의 생활 기간은 한국에서의 쓰기 학습을 통한 쓰기 실력 향상에 기여했으나 쓰기 흥미도와 쓰기 능력에 대한 자기 인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한에서의 쓰기 교육이 북한 이탈 중학생의 쓰기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쓰기에 관련된 정의적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은 쓰기 학습과 관련된 여러 요인에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이나 제3국에서의 교육 기간이 긴 학생의 경우 쓰기 학습에...
[학술논문] 북한 이탈 주민 대학생의 북한말 및 사회언어적 배경을 활용한 영어 교수법 활용 연구
...사전·사후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북한 이탈 주민 학습자의 모국어 및 사회언어적 지식을 활용한 영어 프로그램은 탈북자 영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영어능력 부족으로 한국 사회 정착에 곤란을 겪고 있는 탈북 학습자들이 사회언어적·문화적 스키마 활용 후 어휘, 문장 습득, 말하기, 쓰기 능력의 향상이 일어났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가졌던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긍정적 호감으로 바꾸는 데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탈북 학습자들의 한국 교육과정 적응에 도움을 주어 영어 학습의 긍정적 언어 자아실현을 돕고자 하였다. 소수에 대한 질적 연구이므로 본 교수법의 실효성을 입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학술논문] 남한·북한·연변의 기초 문식성 교육 내용 비교
...특히 한글 교육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세 지역에서 진행되는 기초 문식성의 공통적인 교육 내용은 자음 읽기와 쓰기, 모음 읽기와 쓰기, 글자의 짜임 이해, 음절 읽기, 문장 부호의 이해, 바른 순서로 글씨 쓰기, 단어나 문장 쓰기, 말놀이하기, 연필 바르게 잡기, 바른 자세로 책읽기 등이다. 한글 교육의 내용도균형적 접근 법을 따른다는 점이 유사하나 구체적인 지도 순서나 학습활동은 차이를 보였다. 남한에서는 교육공학적인 체계 속에서 음운론적 언어 접근법과 총체적 언어 접근법의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으나 북한이나 연변의 경우 학습자들의 흥미나 탐구적 태도를 추인하는 학습내용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세 지역에서 실시되는 한글 교육 내용의 구체적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 자모의 이름을 다르게...
[학술논문] 북한 김정은 체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과 수록 제재의 특성 분석
...제재 중심의 독본형 교과서에서 목표 중심의 학습활동 교과서로 변화 하였다. 개정된 북한 소학교 교과서는 단원마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능 목표 와 함께 단원 도입면을 시작한다. 또한, 학습 도우미를 제시하여 학습활동의 단서를 제공하였으며, 자기점검 질문을 활용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밖에도 이전 단원 을 복습하고, 해당 단원을 평가하는 등 학습 목표와 내용, 평가의 흐름을 반영하여 단원 구성의 통일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차시별 학습활동이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유도하여 단원 목표를 구현하는 방식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기존 교과서보다 단원 수를 절반으로 줄이고 학생들의 과제 해결시간을 확보해야 하는 듣기·말하기 및 쓰기 활동을 대폭 확대하였다. 셋째, 흑백의 단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