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의 정치, 정치의 문학 - 『해방후서정시선집』의 정전 재구성을 중심으로 -
...배치방식이었다. 선집은 주체문예이론과 주체문학예술의 과도기형을 보여주었다. 문학사와 평가의 차이를 보여주는 선집 수록 작품과 작가들은 정전형성 과정에서 갈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1960년대까지는 대개 합의를 보여주지만, 1970년대 작품들은 대개 문학사 평가에서 누락되기 때문이다. 이는 갈등과 논쟁이 북한 문학장에 존재하는 양상이면서, 문학사와 선집의 아비투스 투쟁으로 볼 수 있다. 종합해 보자면, 1970년대 의식으로 재배치된 선집은 북한이 독자적인 문학예술 지평을 확립하려는 의도를 실천하는 행위 중 하나였다. 역사적 단계를 대표하는 서정시를 종합하고 정리했다는 측면에서 정전의 성격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체문학의 전형으로 생산되고 소비될 준비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선집은 편찬자의 관심과 이해가 반영되어 있지만...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축구동호회의 아비투스를 통한 문화재생산
...북한이탈주민 축구동호인들의 아비투스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그들이 어떠한 문화를 재생산해나가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이용하여 D광역시 Y축구동호회 회원 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관련 자료 수집 등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텍스트분석을 통해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축구동호인들은 북한에서의 생존방식과 탈북과정에서의 생존투쟁으로 인해 생존을 위한 경계적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아비투스로 인해 축구동호인들은 외부로 자신들의 노출을 꺼려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북한출신배경으로 인한 친화성을 통해 동일한 아비투스를 가졌음을 드러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