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중근연구의 현황과 쟁점
...관계 사료 현황’, ‘안중근의 생애와 활동, ‘안중근의 사상’, ‘안중근의거의 국제 정치적 배경․인식․안중근재판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안중근연구는 안중근의거와 순국 100주년을 전후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현재 230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는 안중근이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얼마나 큰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증거이다. 하지만 안중근 관계 사료를 모두 모은 『안중근자료집』이 출간되지 않은 것이 안중근연구의 현실이다. 안중근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도 하루 빨리 『안중근자료집』이 간행되어야 한다. ‘안중근의 생애와 활동’은 가문적 배경, 천주교수용, 계몽운동, 독립전쟁, 정천동맹 등의 재기모색, 의거, 재판투쟁과...
[학술논문] 중국의 안중근 연구 경과와 안중근 유해 발굴에 대한 인식
이글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의 안중근 연구의 특징을 소개하고;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입장을 살펴보며;안중근 유해 매장지를 추정한 것이다. 중국 학계 안중근 연구의 특징은 국제학술회의에 발표된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안중근 동양평화사상을 주제로 한 글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그러나 중국인 연구자의 일부 연구가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자료 인용·해석이 잘못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안중근 유해 발굴에 대한 중국 측의 인식과 태도는 북한의 영향이 크다. 남북한이 공동으로 경우에 협조하겠다는 것은 중국 측의 기본적인 입장이다. 2006년 남북한공동발굴단의 현지 조사와 2008년 남한 단독 발굴 사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중국 측의 관계자와 연구자가 한국 측의 안중근 의사 유해 매장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