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조기정착 방안에 관한 연구
...북한이탈주민의 조기정착이 중요한 이유는 이들의 원활한 대한민국사회 정착은 북한이탈주민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고, 나아가서는 미래 통일시대에 남북한 주민이 서로 융화하여 잘 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으로서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중요한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은 제도적으로는 상당히 완비되어 있는 편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애로사항이 많은 바, 우선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기본원칙이 먼저 정립되어야 하며 그에 기초하여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정착지원 정책은 대한민국 내의 복지제도와 연계하여 추진되어야 하고 금전적 지급위주의 정책은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북한이탈주민 거주지 신변보호지침 등 관련 법령․지침의 개정으로 북한이탈주민과 신변보호경찰관과의 연락체제가...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신변보호 관리실태의 문제점과 효율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상자가 총 2만7천여명이 넘어서고 있으나 이들의 신변보호를 담당하는 보안경찰은 고작 8백3십여명 수준에 머물고 있어 보안경찰 1인이 평균 33명의 탈북자를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탈북자의 신변보호를 전담 운용하는 신변보호경찰관은 거주지 관할경찰서 보안경찰이 전담하고 있으나 이들 보안경찰은 신변보호업무만 전담하는 것이 아니라 거주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애로사항 관련 상담처리를 비롯하여 탈북자들이 정착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와 자료제공, 취업알선, 직업훈련 등 행정적․법적 지원 등 다양한 지원활동을 병행하여 전개하고 있다. 또한 보안경찰은 기본업무인 방첩활동, 좌익사범단속, 경호보안활동 등 보안업무의 전반적인 사항과 사회 안보와 관련된 업무까지 담당하고 있어 그 범위가 다양하고 광범위하지만, 인력부족과 제도미비,...
[학술논문] 극동러시아 해외농업개발 활성화 연구
...변동성에 대응하고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극동러시아를 비롯하여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으로 진출하고 해외농업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2. 극동러시아에는 2015년말 기준으로 13개의 농기업이 진출하여 있으나, 1) 곡물저장 시설의 노후화, 2) 물류시스템의 부재, 3) 저장 및 가공시설의 부재 등의 애로사항이 있다.
3.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극동러시아의 농업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농산업복합단지 구축, 곡물터미널 및 곡물엘리베이터 구축을 제시하였다.
4. 극동러시아의 농업개발은 우리나라 농기업의 해외진출 확대뿐만 아니라 극동아시아의 역학관계와 북한 식량지원 및 인력활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장기 투자활성화 방안과이를 지원할 정부 정책을...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청년 창업과정 사례와 정책과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창업 활성화를 위하여 현재 창업을 준비 중에 있거나 창업을 진행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청년 창업가들의 입국 전‧후의 인식과 창업교육에 대한 인식 그리고 창업 과정에 대해 심층 면담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창업에 대한 인식과 창업교육 후의 인식 변화 및 창업 진행 과정에서 겪는 공통적 애로사항을 도출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에서 자발적 경제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현재의 정착지원제도를 고찰하여 당면한 과제를 제시했다. 아울러, 북한 이탈주민 청년 창업가의 창업 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자발적 경제활동 중 창업을 독려하고 이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북한이탈주민 청년 창업가의 창업 사례를 중심으로 했으며, 아울러 창업교육을 진행하여 창업교육 전․후의 변화된 양상을...
[학술논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활용한 북한이탈주민 자립방안에 관한 연구: 구직활동을 중심으로
...고용인과 고용주의 일반적인 취업의 관점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북한이탈주민의 다름에 대한 자연스러운 수용 그리고 다른 문화를 겪은 이들에 대한 가치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국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취업 이후 발생되는 문제들은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제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자립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현황 및 북한이탈주민 대상 사회적 책임활동을 분석하여 북한이탈청년 대상 취업 제고 방안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자립에 관한 심층그룹인터뷰를 통해 취업 및 정착의 애로사항과 이들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여 기업 사회적 책임활동과 북한이탈주민 취업 제고 연계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