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고려인 시 연구 ― 현실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고려인 문단에서 여전히 능숙한 한국어로 창작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탈북 고려인 시인들의 작품 경향을 살펴보는 것은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다. 이진을비롯하여 양원식․박현․정추의 시를 살펴본 것은 이 때문이다. 탈북 고려인 시인들의 작품은 연해주나 사할린 출신 고려인 시인들의 작품과는 삶에서 주목하는 관점이나 현실 응전 태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연해주 출신 시인들이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작품으로 형상화한 ‘강제이주에 대한 체험과 고발’의 경우만 보더라도, 양원식과 박현 등 일부 경우를 제외한다면, 탈북 고려인 시인들의 작품에서는 별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다. 이들에게는 ‘강제이주’를 자신의 원죄 의식으로 삼아 소비에트 국민으로서의...
[학술논문] 모스크바 8진의 유라시아 삶과 예술 세계
...스탈린그라드, 카자흐스탄 등지로 흩어져 살면서 디아스포라 기 제의 영화와 다큐멘터리의 제작, 나아가 고려인 2세대 문학을 이끄는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국적자라는 처지는 이들 의 예술 활동 전반에 그대로 반영된다. 최국인은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가맹공화국들이 소련민족과 친선을 도모하는 영화나 신장 위구르인의 모습을 담은 영화를 제작하였다. 양 원식은 다큐멘터리 영화 <알마티>를 제작하여 알마티의 자연 경관을 사실적으로 담아내는 독특한 자신만의 세계를 표현하였다. 그러나 최국 인은 고려인 공화국이 존재하지 않았던 소련에서 민족을 위한 영화를 만들지 못한 것에 대한 비참함을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어느 특정 민 족의 구성원에 속하지 못한 자신들의 처지인 디아스포라 기제는 다양한 영화와 다큐멘터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