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돕기 위한 교재를 소개하고 그 특징을 분석한 연구이다. 북한이탈주민은 대한민국에 들어온 이후 남북한의 언어 차이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그 중 남한의 낯선 어휘, 발음․억양․화용 표현의 차이로 인해 매우 힘들어한다. 특히 수많은 외래어와 외국어는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생활에 많은 부담을 주며, 화용상의 차이는 의사소통의 오해를 가져오기도 한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은 일상생활, 직장 생활,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을 위해 개발된 성인용 교육 자료로는 발음 교육 프로그램, 어휘 교재, 구어학습용 교재 등이 있다. 교육 자료 개발을 위해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실제성 있는 조사 및 남북 언어, 사회, 문화의 차이에...
[학술논문]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난이도 차이를 바탕으로 국어 능력을 분석한 결과, 북한 이탈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어려워하는 영역은 문법 인식 능력, 문학 지식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평가 문항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 영역이다. 반대로 북한 이탈 학생은 기본적인 모어 능력, 사실적 독해 능력에서 일반 학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도출한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첫째, 남북한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어휘의 차이 및 문법 차이, 그리고 문학 작품을 목록화 한 교재 개발 둘째, 비판적 읽기 교육 및 민주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 셋째, 한국에서의 평가가 생애 주기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평가 제도에 대한 이해와 평가 문항에 대한 이해를 위한 매뉴얼 개발과 함께 평가 실습 교육이 필요하다.
[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탐색을 위한 교재, (e) 긍정적 자아 정체성 형성을 돕는 교재, (f)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교재, (g)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재를 제안하였다. 한국어 능력 수준 Pre-1 단계부터 TOPIK 4급까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며, 주요 교재 외에도 보조 자료, 어휘집, 평가 자료, 교사용 지도서 등 세부적인 구성 요소별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환경적·발달적 특성 및 교육 현장의 요구를 포괄적으로 반영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술논문] 북한 출판『조선어 배우기』러시아어판과 『조선어(류학생용)』교재 비교 연구
...『조선어 배우기』 1~3권과 김일성종합대학교에서 출판된 『조선어(류학생용)』1~5권까지의 교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선어 배우기』와 『조선어(류학생용)』는 북한에서 최근에 출판된 교재이며<조선어소유급수기준>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북한에서 다루고 있는 조선어교육 현황을 파악하기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두 교재 간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보며 개정된 부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의 교재 분석 기준에 따라 교재의 외부 구성 요소와내부 구성 요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외부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그림 자료와 러시아어 설명에서 오류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내부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주제, 어휘 및 문법은 교과서 간에 어느 정도 일관성을 보이지만 일부 내용은 학습 대상에 맞게 등장인물과...
[학술논문] 북한 초급중학교 쓰기교육 내용 분석-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
...유형을 학년에 따라 배우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제작된 초급중학교 교과서는 이전 시기와 다르게 쓰기교육이 지식 이해가 아닌 학습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학습활동은 글쓰기의 과정 중 어휘 표현 부분을 강조하며, 관찰을 통한 관찰일기·묘사글 쓰기 등이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교육용 글쓰기 양식인 토막글 쓰기와 북한 사회의 문화적 양식으로서 다양한 옹근글 쓰기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집단적으로 생산해 내도록 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남북한의 쓰기교육을 비교해 볼 때, 남한의 열린 교재관과 대비되어 북한은 닫힌 교재관을 지향하고 있다. 쓰기교육에도 소재나 제재 면에서 강한 정치이념성이 드러나는데, 특히 남한과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토론글 쓰기가 대표적 사례이다. 설득하는 글쓰기의 경우 남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