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시대 어문 교육의 방향
Recently, there are several prospects for the coming era of unified Korea. This paper is a discussion of the language and literature policy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Korea. There are three prerequisites for this discussion. First, it should be a policy for the 'reunification Korea' rather than the 'unified Korea'. Second, it should be the policy for 'Ready' rather than
[학술논문]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강화될 것이므로 표준어가 오히려 소통의 풍부함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어서 폐지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성문화된 표준어 규정을 폐지하면 언중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방송이나 언론 등에서 기준으로 삼으며, 사전 등에 수록된 언어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교육하는 방식이 합리적 방법일 것으로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 표준어라는 ‘선택적’ 개념 대신에 한민족 모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언어라는 의미에서 ‘한민족공동어’라는 개념을 제안하며, 이 공동어라는 개념 속에서 남북한이 함께 한민족공동어(韓共同語) 정립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기구를 통해 충분히 논의와 활동을 전개한 후 표준어와 문화어를 폐지하여, 가능한 다양한 한국어 방언들이 언중들 사이에서 유통되기를 기대해 본다.
[학술논문] 「한글 맞춤법」(1988)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에 대해서 - 남북한 띄어쓰기 규정의 변천 과정을 비교하며 -
...조사는 단어이지만 자립성이 없어 앞말에 붙여 쓴다고 규정하고 자립성이 없는 단어인 의존명사는 띄어 쓴다는 것에서 어문규정이 일관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조사의 띄어쓰기를 단어의 자립성의 여부를 중심으로 판단했다면 의존명사도 역시 같은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사용을 살펴보았을 때 언중들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조사;어미 사이의 띄어쓰기를 정확히 구분하기 어려워했다. 언중들은 띄어쓰기의 여부를 의미적 단위를 중심으로 인식한다고 보인다. 「조선어규범집」(2010)에서 띄어쓰기는 의미적 차원에서 하며 의존명사를 붙여 쓴다. 남한의 수 관형사 ‘한;두;세’도 수사로 취급하여 ‘한사람;두마리’와 같이 붙여 쓴다. 남북한은 띄어쓰기 기준에 차이를...
[학술논문] 북한 어문규범의 변천을 통해 본 어두 ㄴ, ㄹ의 표기와 발음에 대한 고찰
...모순, 언중들이 어두에서 ㄴ, ㄹ을 발음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었다. 북측의 「조선어 신철자법」(1948)에는 한자어 두음 ㄴ, ㄹ은 본음을 밝혀 적는다는 원칙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어 철자법」(1954)에서 두 모음 사이의 ‘ㄴ, ㄹ’은 발음에 따라 적었으며 「조선어 철자법」에서는 때에 따라 달리 발음되는 한자를 발음대로 적는다는 예외를 두었다. 또한 조선말규범집(1966)에는 변화된 한자음을 현대 소리에 따라 표기에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말규범집(2010)에서 본음과 속음이 있는 한자어의 경우 발음을 표기에 반영했고, 한자어 ‘렬, 률’의 발음에 대한 규정이 추가되었다. 형태주의를 원칙으로 삼았던 북측의 어두 ㄴ, ㄹ 관련 규정은 언중들의 발음을...
[학술논문] 해방기 남북한 아카데미즘의 국어/조선어 언어정책론
...풀어쓰기 주장이 충분히 공론화되지 못한 데 반해;북한의 학계는 다양한 방면의 접근을 통해 그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다. 그러나 한글 풀어쓰기로의 지향 이면에는 남북한 모두 서구 근대성에 대한 강박이 내재하고 있었다. 풀어쓰기에 대한 지향은 서구(근대)성≒표음문자≒알파벳이라는 무의식적 전제하에 한글표기를 급진적으로‘서구화’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와 함께 북한학계에는 정부권력에 의한 강력한 통제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었다. 결과적으로 남북 모두 시간차는 있지만 한자어 표기의 한글화는 이루어졌다. 반면 풀어쓰기;곧 한글의 알파벳화는 성공적으로 추진되지 못했다. 서구근대성에 대한 강박이 어문현실과 언중에 대한 고려와의 균형을 잃게 만들었고;궁극적으로 대중의 동의를 이끌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